기업에 ‘이동식 발전선(mobile powership)’ 사업을 허가해주는 방안을 정부가 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원전 건설에 따른 사회적 마찰을 줄일 수 있어 주목된다. 정부는 여기에다 기업 투자를 활성화하고 해외 수출도 늘리겠다는 복안이다.
3일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전력 등에 따르면 이들 관계기관은 최근 이동식 발전선 사업의 사업성, 안전성 등을 검증하는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첫 회의를 가졌다. 이동식 발전선이란 배 위에 발전소를 지어 전력을 필요로 하는 지역으로 배를 이동시킨 뒤 전력계통 접속 설비에 연결해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다. 전력 수요는 많은데 송전선이 부족해 타지에서 전력을 끌어오기 힘든 지역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송배전 과정에서 전선을 타고 전력을 보내는 것보다 전력손실을 줄일 수 있고, 발전소를 건설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지역주민과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발전사, 플랜트회사, 선박회사, 운송사 등이 먼저 이동식 발전소를 제작해 해외에 수출하겠다는 계획을 세워 정부 측에 제안했다. 이들이 구상하는 이동식 발전선 규모는 대당 88만kwH 수준으로 원자력발전소 1기와 맞먹고 생산비용도 1조1000억원 정도로 추정된다. 액화천연가스(LNG)를 연료로 하는데 약 3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10만∼20만kwH 수준의 이동식 발전소는 일부 국가에서 생산한 적이 있지만 원전 수준의 대형 이동식 발전소는 세계적으로 처음 시도하는 것이다.
생산된 발전선을 수출하기 위해선 먼저 국내에서 시험가동을 해 제대로 작동이 되는지를 검증해야 한다. 예컨대 발전선을 인천항에 정박시켜놓고 전력을 공급하다 외국에서 구매 의사를 밝히면 수출하는 식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시험가동 과정에서 국내 전력생산량은 늘 수밖에 없다. 국내 전력수급 계획은 당국이 전력수요가 얼마나 될지를 꼼꼼히 따진 뒤 발전원별 전력생산량을 정하고 그 뒤에 사업자를 선정해야 하는데 이런 과정을 생략한 채 바로 사업부터 벌이는 셈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정부가 기업 투자 활성화를 위해 사업을 밀어붙이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기재부에서 이 사업을 적극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동식 발전선이 외국에 얼마나 팔릴지도 의문이다.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대형 이동식 발전선은 그동안 시도된 적이 없기 때문에 사업성이나 안전성을 검증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 정도 규모의 이동식 발전선을 가동했을 때 배가 얼마나 심하게 진동할지 등에 대해 추정하기가 결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세종=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
[단독] 원전급 발전소 배 위에 만든다
입력 2015-02-04 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