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경선 룰 다툼 승리… 朴 “끝까지 간다”

입력 2015-02-03 03:23
새정치민주연합 2·8전당대회 대표 경선에 나선 문재인 의원이 2일 전북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하던 도중 물을 마시고 있다.연합뉴스

새정치민주연합 ‘2·8전당대회’가 문재인 박지원 의원의 ‘경선 룰 다툼’으로 이전투구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당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가 2일 룰 갈등과 관련해 문 의원의 손을 들어주자 박 의원은 “계파 독점의 결과”라며 한때 경선 보이콧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반발했다. 당내에서는 문 의원이 뒤늦게 문제 제기한 것을 두고 ‘대세론’이 흔들리고 있다는 방증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전준위는 전체회의를 통해 지도부 경선 결과에 25% 반영되는 일반 당원·국민 여론조사에서 ‘지지후보 없음’을 유효 투표로 인정하지 않기로 최종 결정했다. 표결 결과 찬성 11명, 기권 4명이었다. 이는 문 의원 측의 주장을 받아들인 것으로, 전대를 엿새 앞두고 룰이 조정됐다.

박 의원은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이렇게까지 반칙을 하면서 당 대표가 되려 하는가. 참담한 심정을 금할 길이 없다”며 “주위 분들과 거취를 상의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어진 JTBC TV토론회 전 기자들을 만나서는 “끝까지 가겠다” “반드시 심판하겠다”며 완주 의사를 밝혔다.

논란은 전준위의 애매모호한 시행세칙 때문에 촉발됐다. 지난해 12월 29일 확정된 시행세칙을 보면 전당대회 여론조사를 실시하면서 각 후보자뿐 아니라 ‘지지후보 없음’까지 포함해서 물어보도록 돼 있다. 이를 놓고 ‘지지후보 없음’도 응답의 한 형태이기 때문에 유효 투표 처리해야 한다는 해석이 나왔다.

그러나 문 의원 측은 “지지후보 없음은 후보를 선택하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무효표로 처리해야 한다”며 강력히 문제를 제기했다. 논란이 커지자 전준위는 5시간 마라톤 회의를 열었으나 접점을 찾지 못했다. 권리당원을 대상으로 한 ARS(자동응답시스템) 사전투표 개시를 하루 앞두고 악재가 터지자 당내에서는 “한심한 막장 전대”라는 자조가 터져 나왔다. JTBC 토론회에서도 박 의원의 공세에 문 의원이 “저질 토론이 되고 있다”고 비판하고, 다시 박 의원이 “규정(룰) 바꾸는 것이 저질”이라고 되받는 등 감정 섞인 공격이 오고갔다.

이번 논란은 선거전이 박빙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증거라는 분석이 나온다. 애초 여론조사는 전체 투표 중 반영비율이 25%인 데다 이 중 ‘지지후보 없음’ 응답비율도 그다지 높지 않아 영향이 미미할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선거전이 접전으로 바뀌면서 이 문제가 당락을 가를 수도 있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한 당직자는 “문 의원이 선거에서 압승할 분위기라면 지금 시점에 선거 룰에 대해 문제 제기를 했겠느냐”고 반문했다. 노영민 의원 등 일부 친노계 의원들과 구청장들이 문 의원 지지 문자를 보내는 것도 ‘문재인 대세론’이 흔들리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새정치연합 소속 서울시의원 76명 중 39명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인영 의원을 당 대표로 지지한다는 의사를 밝혔다.

임성수 최승욱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