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런던 도심에서 비싼 집값에 항의하는 대규모 시위가 열렸다고 가디언이 3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천정부지로 치솟는 집값에 복지혜택마저 줄어들면서 런던 밖으로 내몰리는 사람들이 속출하면서다. 시민 5000여명은 이날 런던시청 앞에서 집회를 갖고 공공임대주택 확충, 월세 인상 규제 등을 촉구했다.
이날 시위에 참석한 20세 여성 재스민 스톤은 싱글맘이다. 친구들과 함께 시위 현장을 찾은 그는 부도덕한 집주인들이 월세를 올리면서 이를 감당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런던 밖으로 주거지를 옮기고 있다고 주장했다. 스톤은 “벌써 지인들 중 상당수가 떠나갔다”며 “젊은이들이 집세를 못내 고향 밖으로 내몰리는 건 공정치 못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교사 잰 닐슨 또한 “런던은 교사가 필요하지만 젊은 교사들은 런던 집값을 감당하지 못한다”며 “1시간30여분이나 되는 통근 시간을 감당하거나 좁은 방에서 2∼3명이 모여 살거나 둘 중 하나다. 이는 수치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이들이 가장 우려하는 건 런던 시내에서 저렴한 임대주택이 사라지고 대신 값비싼 고급 주택이 들어서고 있다는 점이다. 가디언에 따르면 런던 내 주택에 대한 외국인 투자가 최근 급속히 늘었다. 템스 강 인근에 건설 중인 주택 중 80% 가까이가 외국인 소유다. 런던에서 가장 집값이 높은 지역에서만 5만4000여채가 새로 들어설 예정인데, 이들 대부분의 거래가가 100만 파운드(약 16억5000만원)에 달한다. 반면 공공주택 소유권을 민간에 넘기는 보수당의 정책에 따라 공공주택 공급은 날로 감소하고 있다. 공공주택 5채가 팔려나가는 동안 새로 늘어난 공공주택은 1채에 불과하다.
오는 5월 총선을 앞두고 보수당이 내건 공약은 저소득층 주민들의 불만을 부채질하고 있다.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는 주택보조금 한도를 연 2만6000파운드(약 4300만원)에서 2만3000파운드(약 3800만원)로 낮추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공약이 실현되면 런던 전역에서 방 3칸짜리 주택을 임차한 가정은 즉시 집을 비워야 하며, 2칸짜리 주택을 임차한 가정 또한 6년 이내에 월세를 감당하지 못해 내몰리는 상황에 이른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치솟는 월세에 폭발한 런던 주민들
입력 2015-02-02 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