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암은 서구에서 남성의 장기에 발생하는 각종 고형암 중 발생빈도 1위로 꼽히는 암이다. 국가암등록 통계에 따르면 전립선암은 우리나라에서도 현재 남성 암 중 발생률 5위를 기록 중이다.
일반적으로 전립선암 발생 위험과 치료 효과는 개인차가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환자에 따라 악성도가 큰 차이를 보이고 항암화학요법 및 수술 등 치료에 대한 반응도 다르다.
도대체 이런 차이는 왜 생기는 것일까. 그 비밀이 인종이나 사람마다 다르게 발현되는 유전적 차이에 있음을 국내 의료진이 밝혀냈다.
분당서울대병원 비뇨기과 변석수·오종진 교수팀은 최근 국내에서 전립선암 진단을 받고 바로 근치적 전립선 적출수술을 받은 환자 257명에게서 얻은 유전체 24만2221개의 단일염기다형성(SNP) 정보를 분석했다.
그 결과 15개의 SNP가 전립선암 수술 후 악성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번 염색체에 존재하는 ‘rs33999879’ 유전자에 변이가 있으면 수술 후 조직검사에서 악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rs33999879 유전자는 세포가 분열을 할 때 염색체 응축과 유전자 수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다. 간암 및 림프종의 진행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유전자의 변이가 전립선암의 진행에도 관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는 처음이다.
변 교수는 “전립선암 적출수술을 하면서 얻은 검체에서 향후 악성도를 가늠할 수 있는 유전자 변이가 발견됨에 따라 수술 후 환자의 상태나 예후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적절한 대책을 세우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이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전립선암 수술 후 악성도 가늠자, 유전자 변이 발견
입력 2015-02-03 0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