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전 대통령 측은 30일 이 전 대통령의 회고록 ‘대통령의 시간’에 대한 출판예고 공식 기자회견을 열었다. 미리 책 내용이 유출되자 오는 2일로 예정됐던 일정을 급히 앞당긴 것이다.
대표 집필자 자격으로 나온 김두우 전 청와대 홍보수석은 먼저 ‘박근혜 청와대’의 유감표명을 맞받아쳤다. 김 전 수석은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이 전 대통령의 회고록 언급) 언론보도만 보고 청와대가 유감을 내비친 건 잘못된 오해”라며 “(현 청와대가) 정밀하게 책을 읽어보면 상당부분 (오해가) 풀릴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회고록에는 박 대통령이 2009년 당시 ‘정운찬 대망론’ 때문에 세종시 수정안에 반대했다고 언급한 적이 없다”며 “살짝 ‘그때 친박(친박근혜)계가 의구심을 갖고 있지 않았나’라고 언급됐을 뿐”이라고 했다.
그는 이 전 대통령이 재임 당시 추진했다 실패한 선거구제 개편과 개헌에 대한 견해도 직접 밝힐 것이라고 전했다. 김 전 수석은 “이 전 대통령은 향후 이에 대해 표현할 기회가 언젠가 오리라 생각한다”며 “나름대로 준비를 하고 있다. 추가 회고록이 될지, 직접 말씀을 할지 확정된 게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확대해석은 경계했다. “이 전 대통령은 현실정치 개입을 극도로 자제한다. 그건 전임 대통령으로서 적절한 행동이 아니라는 생각도 갖고 있다”고 한 것이다.
남북정상회담 사전접촉 비화 공개 배경에 대해선 “(권력을) 승계하는 과정에서 전임 정부의 정책들이 제대로 (박근혜정부에) 전달되지 않았다”며 “(현 청와대가) 이 일들을 알아야 한다. 그래야 관련 부처로부터 확실하게 보고를 더 받아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김 전 수석은 앞선 언론 인터뷰에서 “(박근혜정부가) 외교·안보를 잘 모르는 것 같다. 국가정보원·외교부가 다 바뀌었기 때문에 이 부분이 어떻게 진행됐는지 정확히 알려야 했다”고 말하기도 했다. 또 “북한이 자기들이 갑인 것처럼 행세하는 건 맞지 않다. 돈은 돈대로 받아먹고 갑질하는, 조공받는 태도를 고치려 한 것”이라고도 했다.
‘왜 정치적으로 민감한 시기에 책을 펴내느냐’는 질문엔 “집권한 지 2년 됐으니까 현직 대통령은 안정적 시기에 접어들었다 여겼다”고 답했다. 이어 “2013년 미국 출판사 요청으로 집필 작업을 시작해 지난해 말쯤 완료했고 예정대로 출간하려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또 “논란은 언제 (책을) 내더라도 마찬가지”라며 “이는 한국정치만 가진 독특한 문화일 뿐”이라고 했다. 출간 시기에 대한 ‘정치적 고려’가 없었다는 뜻이다.
노무현·김대중 두 전 대통령의 서거를 다루지 않은 것과 관련해선 “여러 할 말이 많았고 실제로 이 부분을 초고에 쓰기도 했지만, 굳이 논란을 일으킬 문제를 다룰 필요가 없다고 판단해 넣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김 전 수석은 “정치사안은 최대한 빼는 게 원칙이었다. 자원외교 문제도 이 전 대통령의 재임 중 중요정책이었기 때문에 다뤘던 것”이라고 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靑-MB 정면충돌] ‘회고록’ 싸고 대립… 반박하는 MB측
입력 2015-01-31 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