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30일 박근혜 대통령이 2009년 한나라당 대표 시절 정운찬 총리의 ‘대망론’ 견제를 위해 세종시 수정안을 반대했다고 기술한 이명박 전 대통령의 회고록 내용을 적극 반박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박 대통령이 세종시 수정안을 반대한 것이 당시 정 총리를 견제하기 위해서라고 얘기한 것은 오해”라며 “그 부분에 대해 유감”이라고 밝혔다. 특히 “그런 문제가 정치공학적으로 이렇게 저렇게 해석되는 것이 과연 우리나라나 국민이나 당의 단합에 어떤 도움이 되는지 의문”이라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또 “세종시는 2007년 대선 공약이었고, 당시 이명박 대통령 후보도 세종시 관련 공약을 이행하겠다고 하면서 (박 대통령에게) 지원유세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이어 “박 대통령이 충청도민들에게 수십 군데 지원유세를 하면서 약속한 사안”이라고 덧붙였다.
이 전 대통령이 박 대통령에게 ‘훈수’를 두는 듯한 내용을 회고록에 넣고 청와대가 직접 반격에 나서면서 전·현 보수정권의 정면충돌 양상으로까지 사태가 확대될지 주목된다. 특히 새누리당 원내대표 선거와 국회의 자원외교 국정조사 등 민감한 정치일정을 앞두고 여권 내 친박(친박근혜), 친이(친이명박) 계파 갈등이 다시 깊어질 가능성도 높아졌다. 이 전 대통령은 또 개헌, 선거구제 개편 등에 대해서도 조만간 견해를 밝힐 것으로 보여 이들 문제를 둘러싼 청와대와의 대립이 격화될 공산도 커졌다.
청와대는 이 전 대통령이 회고록에서 남북 정상회담을 위한 접촉 과정과 외교비화 등을 상세히 소개한 것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명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지금 남북문제, 남북대화를 비롯해 외교 문제가 민감한데 세세하게 나오는 것이 외교적으로 국익에 도움이 되느냐”고 말했다.
그러나 김두우 전 청와대 홍보수석은 청와대 측 반응에 대해 “정확히 책을 읽어봐야 한다”고 맞받아쳤다. 그는 또 이 전 대통령이 “국정은 연속성이 있어야 하는데 정권이 바뀌면 책임자들이 모두 바뀌니까 제대로 전달이 안 되고 단절이 되는 게 안타깝다”며 회고록 발간 배경을 설명했다고 전했다.
한편 청와대는 보건복지부의 건강보험료 부과체계 개선안에 대해 “백지화는 아니다”고 거듭 강조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추진단이 마련한 안은 2011년 자료를 기준으로 했는데 지금은 2015년이어서 좀 더 업데이트된 것으로 시뮬레이션을 해봐야 한다”며 “여당 원내대표, 정책위의장이 바뀌면 당정회의에서 그런 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처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MB회고록 유감”… 靑의 반격
입력 2015-01-31 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