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별로 문화를 즐기는 양태는 제각각이다. 20대는 불안한 현실을 문화에서 위로받는 ‘문화열광족’, 30대는 문화에 아낌없이 투자하는 ‘화려한 싱글녀’ 또는 문화를 즐길 겨를이 없는 ‘육아맘’으로 분류된다. 40대는 성장하는 자녀들과 집 근처에서 노는 게 편한 ‘프렌디’이거나 본인은 문화소외층이지만 아이를 위해 문화를 찾는 ‘컬처맘’, 또는 여전히 화려하지만 조금 외롭고 피곤한 ‘블루 싱글녀’에 해당한다. 50대는 드디어 양육의 무게에서 벗어나 문화강좌에 푹 빠져 열공하는 ‘낭만족’, 60대는 문화생활이 삶의 만족으로 연결되는 행복한 ‘액티브 시니어’로 특징지어진다.
서울문화재단은 20대부터 60대까지 결혼, 출산, 양육, 은퇴 등 삶의 주기에 따라 달라지는 문화 향유 및 소비 형태를 조사해 8개 그룹으로 분석한 ‘서울시민 문화향유실태조사’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우선 20대는 연간 문화관람 총 횟수와 문화비용 지출액도 다른 세대보다 많은 문화열광족이지만 삶의 만족도는 가장 낮았다. 취업난 등으로 불안하고 고단한 삶을 문화로 위로받는 것으로 분석된다.
30대 여성은 결혼 여부에 따라 화려한 싱글녀와 육아맘으로 구분된다. 20대에 비해 경제력이 나아진 화려한 싱글녀는 문화예술 비용으로 가장 많은 연간 82만여원을 지불했다. 반면 결혼과 출산으로 자녀 양육에 집중하게 되는 육아맘은 문화예술 관심, 관람 횟수, 삶에서 차지하는 문화예술의 중요성이 모두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녀가 있는 40대는 남성 그룹인 ‘프렌디(Friend+daddy)’의 경우 여가활동 동반자로 가족을 가장 많이 꼽았다. 컬처맘은 관람 횟수가 가장 낮았으나 회당 평균 연극 관람 지불액이 30대보다 증가한 것은 자녀와 함께 공연을 즐기는 특징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50대 낭만족은 자녀 교육 때문에 사그라졌던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부활하면서 문화강좌 등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경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60대는 문화예술 동호회 참여나 창작 취미활동이 가장 높아 문화예술로 행복한 황혼을 보내는 세대라고 할 수 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20대 ‘문화열광족’ 60대 ‘액티브 시니어’… 서울시민 문화향유 실태
입력 2015-01-31 02:16 수정 2015-01-31 1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