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정효성 행정1부시장이 29일 정명훈 서울시향 예술감독의 부당이익에 대해 별도로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부당이익’은 시향에서 제공한 항공권을 정 감독의 가족들이 사용한 것을 의미하며, ‘별도의 조치’란 비용 환수를 뜻한다. 항공권 문제는 최근 서울시 특별감사를 통해 드러났다. 감사에서는 외부 공연에 시향 단원 동원, 주변 사람들의 시향 특혜 채용 등 정 감독의 부적절한 처신들도 확인됐다. 또 감사가 진행 중인 상태에서 서울시가 정 감독과의 계약을 1년 연장한 것과 관련해선 정식 재계약이 아니라 시민들에게 약속한 올해 공연을 원만히 치르기 위해 임시로 기존계약을 1년 연장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서울시가 미온적으로 대처한다는 지적이 나오자 부랴부랴 진화에 나선 것이다.
하지만 잡음을 없애기에는 역부족이다. 정 부시장의 브리핑은 서울시가 정 감독의 공인답지 않은 행동들을 적발하고도 사태를 방치해 왔다는 의구심이 괜한 의혹이 아니라는 걸 확인시켜줬다. 서울시는 감사 후 시향에 기관경고와 개인경고를 통보한 것이 전부다. 통상 감사 결과와 함께 발표되는 개선책을 내놓지 않은 채 여론의 눈치를 살피고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정 감독이 이사장으로 있는 개인 재단과 연관된 의혹 등은 제대로 조사하지 않은 것 아니냐는 지적에도 설득력 있는 답변을 내놓지 못했다. 감사를 실시해 문제는 확인했는데 적절한 조치는 뒤로 미룬 꼴이다.
서울시가 정 감독을 두둔하는 것 아니냐는 인식을 불식시키지 않으면 불필요한 의혹을 낳을 수 있다. 박원순 시장이 서울시향의 평양 공연을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 아니냐는 시선도 있다.
정 감독 취임 이후 서울시향이 크게 발전한 것은 맞다. 하지만 정 감독이 개인 사정으로 공연 일정을 임의 변경하고 개인 재단이 주최하는 외부 공연에 시향 단원을 동원하는 등 적절치 못한 행동을 한 것도 사실이다. 예술계의 관행이라는 이유로 그냥 넘길 문제는 아니다. 서울시는 정 감독과의 재계약 과정에서 그동안의 불합리한 점들을 바로잡아야 한다. 그것이 서울시향은 물론 정 감독이 시민들의 사랑을 받을 수 있는 길이다.
[사설] 서울시 ‘정명훈 문제’ 공정하게 풀어야
입력 2015-01-30 04:29 수정 2015-01-30 1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