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 급락세를 이어가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이 결국 30% 아래로 추락했다. 취임 이후 최저치다.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 카드와 청와대 개편에도 불구하고 악화된 민심을 추스르기는 아직도 역부족이라는 뜻이다. 대통령 지지율 30%는 국정운영 동력 회복의 마지노선으로 여겨진다. 집권 3년차에 강력한 국정 드라이브를 걸어야 하는 박 대통령에게는 커다란 위기가 계속되는 상황이다. 더욱 큰 문제는 이런 상황을 극적으로 반전시킬 뚜렷한 모멘텀을 찾기 어렵다는 데 있다. 따라서 박 대통령이 후속 인적 쇄신과 소통 강화에 더욱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지 않을 경우 ‘레임덕’ 현상이 현실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의 27일 기준 일일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박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긍정평가)는 29.7%를 기록했다. 박 대통령이 국정 운영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62.6%에 달했다. 이 조사는 26∼27일 이틀간 전국 19세 이상 1000명을 상대로 실시됐으며 유무선을 혼합해 전화면접과 자동응답 방식으로 조사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 포인트다. 28일엔 31.5%로 소폭 올랐다.
박 대통령이 지난 23일 단행한 총리 교체, 청와대 개편의 효과도 나타나지 않고 있다. 여권 관계자는 “연말과 연초 악재가 계속 이어지면서 대통령에 대한 지지층 이탈이 가속화되는 것 아닌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지지율 반등이 이뤄지기 위해선 국민 주목을 끌 만한 대책이 있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마땅한 방법이 없다는 데 청와대의 고민이 있다. 박 대통령이 최근 들어 잇따라 ‘소통 강화’를 외치는데도 한번 돌아선 민심을 되돌리기는 쉽지 않다는 뜻이다.
개각과 청와대 개편이 일시에 이뤄지지 않고 시차가 생기면서 쇄신 효과를 주지 못하는 것도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청와대는 당초 이번주 중 정무특보단 등 후속 인사를 발표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결국 새누리당 원내대표 경선일인 다음 달 2일 이후로 늦춰지게 됐다. 인선 내용이 원내대표 경선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당의 지적을 받아들인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후속 개편이 당 경선 이후로 늦춰지는 쪽으로 가닥이 잡힌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동안 거론됐던 정무특보단 후보군이 대부분 친박(친박근혜계) 인사들이라는 점도 인선을 늦추는 배경으로 꼽힌다. 당내 비주류 진영에선 이런 면면의 특보단이 오히려 소통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인선 작업은 계속 이뤄지고 있다”고 했다. 개각은 여당 일정과는 직접적 연관성은 없지만 역시 내주로 늦춰질 가능성도 있는 상황이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이슈분석-朴대통령 지지율 마지노선 붕괴] 30%線마저…
입력 2015-01-29 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