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가는 ‘착한 복지’… 서울 노원구의 새로운 실험

입력 2015-01-29 03:31
지난해 송파 세모녀 자살 사건을 계기로 서울 노원구가 동 주민센터를 ‘찾아가는 방문복지’의 중심으로 혁신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노원구(구청장 김성환)는 지난해 10월부터 구청장의 동 조직개편 권한을 각 동장에게 위임해 동 실정에 맞게 조직의 근본체질을 개선하도록 했다고 28일 밝혔다. 기존 19개 동 주민센터의 팀은 일률적으로 ‘행정민원팀’과 ‘주민생활지원팀’ 뿐이었다. 그러나 이번 혁신을 통해 6개동에서 ‘복지지원팀’ ‘생활민원팀’ 등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3개 동에서는 ‘생명사랑팀’, ‘방문복지팀’ 등이 새로 생겨났다. 아울러 행정직과 사회직의 경계를 허물어 행정직도 복지업무를 수행하고 사회직도 행정업무를 담당하도록 했다. 또 현장을 다닐 수 있고 통장과 소통이 가능한 동 직원을 중심으로 ‘통(統) 담당제’를 부활시켰다.

구는 행정 말단 조직이던 반장을 ‘마을살피미’로 명명해 마을 공동체 복원을 위한 보건·복지도우미로 활용했다. 이들은 어려운 이웃 가정방문을 통한 생활 및 건강실태 파악, 자살위험군 조기 발견 및 사후관리 강화를 위한 마음건강평가 실시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노원구는 동장에게 업무지시권을 부여해 동 주민센터에 배치된 방문간호사가 의료서비스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생활실태 파악 임무도 수행하도록 해 보건과 복지가 함께 이뤄지는 통합사례관리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런 노력의 결과로 동 조직 혁신 후 3개월만에 동별 월 평균 방문복지 실적이 255회로 약 5배 증가했다. 특히 전체 방문복지 중 기초수급자나 차상위계층이 아닌 비복지대상자가 22%를 차지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