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공동형 장사시설’ 막바지에 암초 만났다

입력 2015-01-27 03:59

혐오시설 입지를 반대하는 ‘님비’(NIMBY) 현상을 극복하고 ‘핌피’(PIMFY: Please in my front yard) 사례로 국내외 언론에 소개됐던 ‘화성시 공동형 종합장사시설’ 건립사업이 막바지에 암초를 만났다. 화장시설 후보지와 2∼3㎞가량 떨어진 수원시 호매실지구 주민들이 반대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화성의 공동형 종합장사시설은 매송면 숙곡1리 36만4000㎡에 건축 연면적 1만3858㎡ 규모로 건립 추진 중이다. 예상 사업비 1203억원을 5개 시가 분담해 2017년 완공할 계획이다. 화장로 13기, 장례식장(6실), 봉안시설(2만6440기), 자연장지(3만8200기), 공원과 주차장 등 부대시설이 들어서게 된다.

그러나 인근 수원 호매실지구 주민들이 들고 일어섰다. 이들은 지난해 12월부터 “미리 주민 의견을 수렴하지 않았다”는 등의 이유로 화장시설 건립반대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했다. 화장시설에서 나오는 유해물질이 편서풍을 타고 호매실지구로 넘어오면 주민들에게 환경피해가 발생한다며 수원시, 화성시, 국토부 등에 민원을 제기했다.

지난 20일에는 화장장 건립저지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해 본격적인 반대운동에 돌입했다. 여기에 해당 지역구 국회의원인 정미경(새누리당·수원 권선구) 의원도 가세했다. 정 의원은 “행자부와 국토부로부터 수원지역 주민의 의견을 반영하겠다는 취지의 서면답변서를 받았다”고 밝혔다. 지난 13일에는 남경필 경기도지사를 만나 “장사시설 오염물질이 호매실 주민의 건강과 환경을 위협한다면 결코 참을 수 없을 것”이라고 엄포를 놨다.

당초 화성 공동형 종합장사시설은 유치 신청이 저조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화성지역 6개 마을이 경쟁적으로 신청서를 제출해 사업 추진 3년여 만인 2013년 11월 지금의 숙곡1리가 최종 후보지로 선정됐다.

화성시는 지난해 8월 정책토론회를 열어 정부 지원을 호소하는 등 사업 추진에 열정을 보였다. 3개월 뒤에는 부천·안산·시흥·광명 등 경기지역 5개 자치단체와 예산 분담 비율에 합의하고 올 상반기에는 공동투자협약을 체결하기로 하는 등 속도를 냈다. 그러나 예상치 못한 호매실지구 주민들의 반대를 어떻게 극복할지 주목된다.

이에 대해 화성시는 전북 정읍의 사례를 들며 사업 추진에 큰 문제는 없을 것이란 입장이다. 화성시 관계자는 “2011년 전북 정읍시, 고창·부안군 등 3개 시·군이 공동 광역화장장을 설치하기로 하고 부지 후보지를 결정했으나 주민 반대로 3년째 답보상태에 빠졌었다”며 “그러나 정부 중재로 사태가 해결돼 지난해 9월 착공됐다”고 설명했다.

화성=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