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장 “부목사·총대에 여성 할당제 도입하자”

입력 2015-01-27 03:55
이문숙 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 양성평등위원장(가운데)이 26일 서울 초동교회에서 열린 ‘2015년 양성평등정책협의회’에서 협의회 취지를 설명하고 있다. 강민석 선임기자

남성 중심의 교회 문화를 발전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부목사 청빙과 총대 파송에 여성 할당제를 도입하자’는 주장이 26일 제기됐다. 한국기독교장로회(기장) 양성평등위원회 주최로 서울 종로구 돈화문로 초동교회에서 열린 ‘2015년 양성평등 정책협의회’에서다.

기장 여신도회 전국연합회 총무 인금란 목사는 ‘교단 의사결정구조에 대한 여성참여의 평가와 전망’이란 주제 발표에서 “97회 총회 이후 98, 99회 총회에서 여성 총대 수가 오히려 줄어들었다”며 “100회 총회를 앞둔 시점에서 여성의 정책참여와 지도력 향상은 더딘 걸음을 지속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인 목사는 ‘여성 할당제’를 교단 헌법으로 확대하자고 주문했다. 그는 “세계교회는 여성의 참여를 전체 총대의 50%까지 보장하고 회원교단과 교회를 향해 여성·청년의 참여를 끊임없이 권고한다”며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여성·청년 30% 할당제를 법으로 보장하고 시행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노회와 총회의 언권회원 중 여신도·청년 대표를 투표권이 있는 특별 총대로 하는 등 법 조항을 수정·보완해야 한다”며 “교단 헌법의 불합리성을 바꾸자”고 제안했다.

‘여성 목사 안수 40년, 여성 목회의 현실과 전망’을 발표한 기장 여교역자협의회 총무 이혜진 목사는 여성 담임목회자를 청빙할 때 교인들의 인식 전환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예전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여성 목회자를 담임목사로 청빙할 때 권사와 장로의 찬성률은 각각 60.8%, 46.1%에 그쳤는데 이는 여성 부목사 청빙 찬성률(90.6%)에 비해 크게 낮은 것”이라며 “여성 목회자가 보조적 역할을 요구받고 있는 만큼 인식 전환이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 목사는 ‘부목사 청빙 여성할당제’ ‘부부목회 확대’ ‘임신·출산 자녀양육에 대한 대책 마련’ 등의 제도적 대안도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현장 목회자 중 여성 목회자의 비율이 30%는 될 수 있도록 부목사 2명일 경우 1명 이상, 5명일 경우 2명 이상 여성 목회자로 채우는 할당제를 도입하자”고 제안했다.

이어 “여성 목회자의 경우 출산과 육아 때문에 목회 공백이 생긴다는 이유로 교회가 청빙을 피한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교단 차원에서 출산휴가와 이 시기 목회를 대체할 수 있는 인력·예산을 마련하는 방안도 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기장 부총회장 최부옥 목사는 논찬에서 “노회 여성 총대를 총대 10명당 1명으로 하고 10명 미만의 노회도 1명씩 의무 할당을 하면 더욱 좋을 것”이라고 거들었다.

여성목회자로 담임 목회를 하고 있는 김성희 독립문교회 목사는 “교단 정책 결정에 여성의 참여가 많아져야 한다”며 “총회 각 부서에 여성이 1명 이상 포함하기로 한 결의를 지키고, 공천위원회에도 여성 1인을 의무적으로 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진삼열 기자 samu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