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리 교체·청와대 개편] ‘한시적 유임’ 왜?… 퇴진 시점은 언제?

입력 2015-01-24 04:26

박근혜 대통령이 전격 내놓은 청와대·내각 쇄신안에는 정작 김기춘(사진) 청와대 비서실장의 거취는 결정되지 않았다. 박 대통령이 지난 12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김 실장 교체 가능성을 시사했고, 본인도 사의를 거듭 밝혀 왔지만 이번 개편에서도 포함되지 않은 것이다.

그러나 결국 시기가 문제일 뿐 김 실장의 퇴진은 정해진 수순이라는 게 청와대 안팎의 기류다. 지난해부터 잇따른 인사검증 실패, 불통 논란에 이어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에 초기 대응을 실패한 김 실장 체제로는 청와대 쇄신의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위기에 몰린 박 대통령으로서도 이는 큰 부담이다.

윤두현 청와대 홍보수석은 23일 기자들과 만나 “지금 청와대 조직개편이 완전히 마무리된 상황이 아니다. 그래서 조금 더 할 일이 남아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 비서실 개편 작업과 정무특보단 출범 등이 아직 남아 있는 만큼 김 실장이 이를 마무리하겠다는 의미다. 결국 ‘한시적 유임’이라는 얘기다.

여권에선 김 실장이 정무특보단 추가 인선 등 청와대 개편 후속작업 마무리와 동시에 물러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여권 관계자는 “김 실장 퇴진은 시간문제일 뿐이고, 후임이 정해지는 대로 김 실장이 물러나지 않겠느냐”고 했다. 여권 내에선 벌써부터 후임 비서실장으로 권영세 주중대사, 허남식 전 부산시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 권 대사는 또 통일부 장관 후보, 허 전 시장은 해양수산부 또는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로도 이름이 오르내린다.

김 실장의 사퇴 의사가 워낙 강력한 만큼 박 대통령도 결국 사의를 수용하지 않겠느냐는 분석이 나온다. 박 대통령은 지난 12일 기자회견에서 그의 교체 가능성을 열어놓았지만 시기에 대해선 못 박지 않았다. 박 대통령은 당시 “당면한 현안이 많이 있어 그 문제들을 먼저 수습한 다음 결정할 문제”라고 밝힌 바 있다.

물론 본인 의사와는 상관없이 김 실장의 한시적 유임이 의외로 길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불통의 근원’이라는 야당 비판과는 별개로 청와대 내부 업무장악력이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는 그를 대체하기 쉽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박 대통령은 여전히 김 실장에 대한 전폭적인 신뢰를 보이고 있다. 김 실장의 수차례 사의 표명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해 “정말 드물게 사심이 없는 분”이라고 평가할 정도다. 개편된 청와대 비서실이 완전히 연착륙하는 2∼3개월 후에 퇴진할 것이라는 말이 계속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남혁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