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朴 대통령, 이완구 총리 기용·靑 개편 전격 단행 왜?… 꽉 막힌 국정 ‘소통 총리’ 승부수

입력 2015-01-24 03:31
박근혜 대통령이 23일 중국과 일본 등 주변국에 상주하면서 우리나라를 겸임하는 비상주 주한 대사 8명에게 신임장을 주기 위해 청와대 충무실로 향하고 있다(왼쪽 사진). 국무총리 후보자로 내정된 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마친 뒤 새정치민주연합 당직자실을 방문해 웃고 있다. 김태형 이동희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23일 집권 3년차의 국정 위기를 탈출할 선택지로 ‘이완구 국무총리’ 카드를 전격 꺼내들었다. 심각한 민심 이반을 막고 국정동력 회복의 마지막 기회로 삼겠다는 박 대통령의 결단이 그대로 반영된 것이다. 특히 국회 입법을 총지휘하는 현직 여당 원내대표를 총리직에 기용한 것은 ‘소통’ 강화를 토대로 침체된 국정 장악력을 한껏 끌어올리겠다는 박 대통령의 ‘최후의 승부수’라는 시각도 있다.

윤두현 청와대 홍보수석은 춘추관 브리핑에서 “박 대통령은 정홍원 총리가 여러 차례 사의를 표명했고, 최근 신년 업무보고가 끝남에 따라 사의를 수용했다”며 “후임 총리에 이완구 현 새누리당 원내대표를 내정했다”고 발표했다. 이어 “박 대통령의 국정철학에 대한 이해가 깊고, 그동안 야당과 원만히 협조하며 국회의 정상적인 운영에 기여했다”며 “경제혁신 3개년 계획 추진과 공직사회 기강 확립, 대국민 봉사와 소통의 적임자”라고 발탁 배경을 설명했다.

결국 박 대통령은 임기 5년의 분수령인 3년차 벽두부터 지지율이 속절없이 추락하고 자칫 ‘조기 레임덕’을 불러올 수 있다는 위기감에서 이 후보자를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이 후보자의 발탁은 아울러 박 대통령이 누차 강조한 ‘경제 재도약의 마지막 기회’인 올해 역동적으로 국정과제를 이행하고, 당청은 물론 야당과의 적극적인 소통도 마다하지 않겠다는 의지가 반영됐다는 게 지배적인 분석이다. 청문회 통과 가능성을 고려한 기용이라는 해석도 있다. 이 후보자는 정 총리의 성균관대 6년 후배다.

이 후보자는 내정 직후 일성으로 ‘대통령에 대한 직언과 쓴소리’ ‘야당과의 소통’을 천명했다. 윤 수석도 브리핑에서 “정부가 추진하는 경제혁신, 국가혁신이 무엇보다 중요한 상황에서 당정과 국회의 소통이 매우 중요하다”며 ‘소통’을 강조했다.

거취를 놓고 비상한 관심을 모았던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은 한시적이나마 유임됐다. 총리 교체라는 ‘충격요법’에도 불구하고 박 대통령의 쇄신 의지에 의문부호가 붙을 수 있는 대목이다. 야당은 벌써부터 김 실장의 유임에 대해 강력 반발하고 있다. 그런 만큼 박 대통령이 앞으로 어떤 수준의 추가적인 쇄신방안을 내놓느냐에 따라 향후 현 정부의 진로는 혁신의 길로 갈지, 또 다른 위기를 맞을지 갈림길에 서게 될 수밖에 없다.

이른바 ‘문고리 권력 3인방’ 논란에 휩싸였던 이재만 청와대 총무비서관과 정호성 제1부속비서관은 유임됐다. 다만 이 비서관은 청와대 인사위원회 배석이 금지된다. 안봉근 제2부속비서관은 홍보수석실 국정홍보비서관으로 이동했고, 제2부속실은 폐지됐다.

박 대통령은 이와 함께 청와대 정책조정수석(국정기획수석에서 변경)에 현정택 전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을 내정했다. 민정수석은 우병우 민정비서관, 미래전략수석은 조신 연세대 정보대학원 교수를 각각 내정했다. 대통령 민정특보에는 이명재 전 검찰총장, 안보특보는 임종인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장, 홍보특보는 신성호 전 중앙일보 수석논설위원, 사회문화특보는 김성우 SBS 기획본부장이 각각 내정됐다.

정무특보 등 나머지 특보단과 비서관 인사는 이르면 오는 26일쯤 단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