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심에 놀란 靑, 비서진 개편·개각 폭 커지나

입력 2015-01-23 01:18
안종범 청와대 경제수석(왼쪽)이 22일 청와대에서 열린 교육부 등 8개 정부부처 합동 업무보고에서 심각한 얼굴로 윤창번 청와대 미래전략수석과 귓속말을 주고받고 있다. 이동희 기자

박근혜정부 3년차 벽두부터 여러 악재가 이어지면서 이미 예고된 청와대 개편 및 개각 수위에도 변동이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청와대는 박근혜 대통령의 지난 12일 신년기자회견을 전환점으로 집권 3년차 구상의 실천력 있는 이행에 주력할 방침이었다. 그러나 청와대 민정수석의 항명사태, 대대적 ‘인적 쇄신’ 불발, ‘연말정산 세금폭탄’ 논란까지 불거지면서 박 대통령의 3년차 구상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이처럼 심각한 민심이반에서 보듯이 청와대의 자구책이 없으면 국정의 반전은 어려워진 것이다.

일단 청와대는 공식적으로는 조직 개편에 대해 여전히 신중한 입장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22일 “조직 개편과 인사 문제는 뚜껑을 열어봐야 알 수 있는 사안”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최근 여론 동향을 봐가면서 개편 폭을 일부 조정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기류도 흐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적쇄신 요구에 귀를 닫았다는 비판여론 속에 대통령 지지율이 집권 후 최저로 추락한 만큼 반전의 기회를 찾지 않으면 안 된다는 위기감도 퍼진 상태다. 다른 관계자는 “개편은 시기가 문제가 아니다. 그 방향이 관건”이라고 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로 새해 정부부처 업무보고 청취를 마무리했다. 박 대통령이 ‘새출발’과 ‘심기일전’을 언급한 만큼 이르면 다음주 초 청와대·내각 개편이 이뤄질 예정이다. 청와대 안팎에선 이제 남은 것은 쇄신 국면으로 갈 수밖에 없다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그런 만큼 박 대통령이 청와대 개편의 수위를 어떻게 결정할지에 따라 대대적인 ‘쇄신’으로 갈지, 다시 한번 ‘불통’ 지적에 직면할지 갈릴 수밖에 없다.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에 대한 여론의 교체 요구는 계속 높아지고 있다. 박 대통령이 조직 개편 이후의 비서실 연착륙을 위해 김 실장 체제를 2∼3개월 더 끌고 갈지, 개편과 동시에 교체할지 고심할 시점이라는 의미다.

지난해부터 수차례 사의를 표명해온 김 실장도 이번 개편과 함께 옷을 벗겠다는 뜻이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실장은 부처 업무보고 마지막 날인 22일도 불참해 이런 관측에 더욱 힘을 보탰다. 김 실장은 올해 5차례 업무보고 중 단 한 차례만 참석했을 뿐이다. 청와대는 “비서실장이 모든 업무보고에 다 참석할 필요는 없다”고 밝혔으나 지난해 업무보고 때 사실상 ‘개근’했던 것에 비하면 큰 차이다.

청와대 비서실 개편은 정책기능 강화 차원에서 거론됐던 정책실 신설 대신 국정기획실을 정책수석실로 바꾸고 정책비서관을 두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이재만 총무비서관은 정책비서관 이동 가능성이 높다.

청와대 특보단은 정무·소통 강화 차원에서 정무·홍보특보를 두거나 당청 정책조율 관점에서 과제별 정책특보를 신설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일부 비서관들은 사의를 표명했거나 교체 대상에 올랐다. 행정관들은 대폭 전보가 이뤄질 예정이다.

남혁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