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韓銀 총재 “가계부채 너무 늘어 금융안정 리스크 걱정”

입력 2015-01-23 02:06 수정 2015-01-23 15:27

경기부양을 위해 꺼내들었던 초저금리 정책이 금융안정을 위협하는 부메랑이 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해 10월 이후 가계부채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통화 당국이 위험성을 경고하고 나섰다.

이주열(사진) 한국은행 총재는 22일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 기자간담회에서 “지난해 10월 이후 가계부채 증가세가 높아져 금융안정 리스크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10월은 한은이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인 2%로 낮춘 시기다. 유례없는 저금리에 가계는 앞다퉈 빚을 늘렸다. 지난해 9월 3조5000억원 증가에 그쳤던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은 10월과 11월 각각 6조원, 5조9000억원이 늘었고 12월에도 6조2000억원이 불었다. 12월 증가폭은 사상 최대규모다.

가계부채가 급격히 늘어남에 따라 향후 금리 인상기에 접어들면 한계 계층은 늘어난 원리금 상환 부담을 감당하지 못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빚 갚느라 소비를 줄이거나 극단적인 경우 가계 파산에까지 이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금융권도 대출금을 회수하지 못해 심각한 타격을 입게 된다.

이 때문에 한은은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기준금리 추가 인하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다. 이 총재는 “지난해 두 차례 금리를 내렸기 때문에 그때보다는 금융완화 정도가 확대됐다”며 “금리 인하 효과를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답변했다. 한은은 가계부채 증가의 위험성을 주의 깊게 점검하고 정부 및 감독 당국과 공동 대응키로 했다.

한편 우리나라의 5년 만기 외국환평형기금채권의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미국 뉴욕시장에서 19일 종가 기준 67.96bp(1bp=0.01%)로 집계돼 11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CDS는 국가가 부도를 냈을 때 손실을 보상해주는 파생상품이기 때문에 CDS프리미엄은 국가 부도 위험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된다. 국제유가 급락과 글로벌 금융시장의 악재가 겹쳤고 우리나라 정부와 금융기관이 해외 금융시장에서 발행하는 외화표시 채권(한국물)에 대한 헤지(위험분산) 수요가 증가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선정수 기자 js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