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이 22일 강원지방기상청 산하 기상대의 예보 기능을 없애면서 도내 기상 예보업무가 부실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강원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춘천기상대는 기상청 조직개편으로 19명 인력 가운데 행정인력 9명만 기상대에 남게 됐다.
춘천기상대는 영서지역의 특보 발령을 비롯해 춘천·홍천·인제지역의 예보업무를 담당해 왔다. 하지만 조직개편에 따라 강릉에 있는 강원지방기상청이 춘천기상대의 모든 예보업무를 맡게 되면서 예보기능이 없어졌다.
또 원주와 속초, 동해, 영월, 철원, 대관령 등 6곳의 기상대에 근무하던 예보인력 전원이 강원지방기상청으로 옮기면서 각 기상대의 예보기능은 없어지고 관측과 민원업무 등의 기능만 남게 됐다. 조직개편에선 강원지방기상청 인력 119명 가운데 15명이 감축됐다.
이에 대해 지역 사회에서는 기상청이 강원도 영서와 영동지역의 기후가 크게 다른 것을 무시하고 결정한 처사라며 반발하고 있다.
특히 영월군번영회에서는 지난 달 영월기상대 존속을 위한 건의문을 기상청에 전달하기도 했다. 영월군번영회 관계자는 “국지성 호우와 같은 이상기후 현상이 잦아지고 있어 정확한 기상예보가 더욱 필요한 시점인데도 기상대를 폐지한 것은 위험 기상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해야 하는 기상청의 책임을 회피한 것”이라고 반발했다.
특히 지난해 착공한 춘천기상대 청사 신축도 무의미해지면서 혈세를 낭비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춘천기상대 신청사(1만2503㎡)는 종합기상센터로서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짓고 있으나 오히려 예방기능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47억9700만원이 투입되는 신청사는 현재 40%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강원기상청 관계자는 “이번 조직개편은 각 기상대에 흩어져 있던 예보기능을 지방기상청으로 일원화해 보다 정확한 예보를 내리기 위한 것”이라며 “경험이 많은 선임자들의 노하우를 습득해 예보의 질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춘천기상대 신청사는 앞으로 기상서비스 및 홍보 등의 역할을 담당하는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춘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
강원 7개 기상대 예보기능 폐지 거센 후폭풍
입력 2015-01-23 0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