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업무보고] 靑 조직개편 속도전… 금주말·내주초 靑·내각 동시개편설 확산

입력 2015-01-22 03:52 수정 2015-01-22 10:02
박근혜 대통령이 21일 청와대에서 열린 행정자치부와 법무부 등 8개 부처 합동 업무보고 자리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박 대통령 왼쪽으로 정홍원 국무총리와 주호영 새누리당 정책위의장이 보인다.

박근혜 대통령이 예고한 청와대 개편과 개각이 가시권에 들어오고 있다. 여권 내에서는 이르면 금주 말이나 내주 초 청와대·내각 동시개편설도 확산되고 있다. 청와대 조직 개편이 예상보다 훨씬 빠르게 이뤄지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다.

청와대는 현재 조직 개편의 큰 얼개를 그리면서 동시에 인사검증 작업도 빠르게 진행 중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21일 “인사와 개편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은 것 아니냐”고 말했다. 다만 조직 개편과 함께 인사 배치, 이동이 이뤄져야 하는 만큼 개편 시기에는 변수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게 청와대 입장이다.

청와대·내각 개편 시기가 대폭 빨라질 것이라는 기류는 여당 내부에서 특히 강하다. 여권 관계자는 “이르면 이번 주말이나 다음 주 초 정도에 우선적인 개편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며 “청와대 개편을 먼저하고 장관 발표를 나중에 하거나 동시에 마무리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청와대 비서실 개편에서 가장 주목되는 부분은 이재만 총무비서관 등 이른바 ‘문고리 권력 3인방’의 거취다. 박 대통령이 3인방을 완전 교체하는 것은 아니지만, 업무를 조정함으로써 인적 쇄신 이미지를 보여줄 것이라는 관측이 힘을 얻는다.

이 비서관은 국정기획수석실로 자리를 옮겨 정책업무를 맡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총무비서관이 청와대 인사위원회 멤버인 만큼 이 비서관이 인사에 지나치게 개입한다는 지적을 받아왔기 때문에 이에서 배제하는 식의 이동이 있을 것이란 얘기다. 이 비서관은 박 대통령 의원시절 보좌관을 하면서 정책 업무를 맡아왔다. 대통령 수행 등을 담당하는 안봉근 제2부속비서관도 부속실을 떠나 다른 보직을 맡는 방안이 거론된다.

김기춘 비서실장 거취에 대한 전망은 엇갈린다. 김 실장은 그동안 수차례 박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해왔다. 박 대통령도 신년기자회견에서 “당면한 현안을 수습한 뒤 (거취를) 결정할 문제”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런 만큼 김 실장에게 조직 개편이라는 마지막 임무를 부여한 뒤 개편과 함께 자연스럽게 퇴진시킬 것이라는 말이 나온다.

반면 조직 개편 단행 2∼3개월 뒤 결정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청와대 관계자들도 “(김 실장 거취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결국 전적으로 박 대통령 결정에 달려 있다는 의미다. 개각은 해양수산부에 한정하는 원포인트 개각이 유력하다. 해수부 장관 후보자로는 새누리당 유기준 의원을 포함한 복수 후보군이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