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2명 중 1명 절대적 빈곤

입력 2015-01-22 00:26

빈곤지표가 더 나빠졌다. 노인 2명 중 1명은 최저생계비 이하 소득으로 사는 ‘절대빈곤’ 상태에 처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출빈곤율도 악화됐다. 저소득층의 소비 위축과 소비 양극화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임완섭 부연구위원은 ‘최근 빈곤 및 불평등 추이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2013년 절대빈곤율(시장소득 기준)이 11.7%로 전년도 11.1%보다 0.6% 포인트 올랐다고 21일 밝혔다. 인구유형에 따른 절대빈곤율은 만 65세 이상 노인층이 49.1%로 가장 심각했다. 이어 1인 가구 41.3%, 여성가구주 가구 26.1%, 한부모 가구 12.7%, 취업자 5.4%, 아동 5.3% 순이었다.

소비지출 절대빈곤율은 12.4%를 기록했다. 2012년엔 10.7%였는데 1.7% 포인트 상승했다.

경상소득(시장소득에 연금과 정부지원금을 합한 소득) 기준 절대빈곤율(7.7%)과 가처분소득(경상소득에서 세금과 사회보장 분담금을 뺀 소득) 기준 절대빈곤율(9.0%)은 시장소득을 기준으로 한 것보다 낮았다. 개인이 벌어들이는 소득만 놓고 보면 절대빈곤율이 10%대에 이르지만 국민연금 등 사회보장정책이 개입하면서 소득 빈곤 정도를 그나마 줄여준 것이다.

상대빈곤율은 시장소득 기준으로 전년 대비 0.4% 포인트 오른 16.7%였다. 상대빈곤율은 중위소득(전체 가구 중 중간순위 소득) 50% 미만인 가구의 비율이다. 경상소득 기준 상대빈곤율은 14.1%로 전년 대비 0.2% 포인트, 가처분소득 기준 상대빈곤율은 13.7%로 0.3% 포인트 떨어졌다.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소득 부문에서 전년보다 나아졌지만 지출 부문은 악화됐다. 시장소득 지니계수는 0.0328로 전년도보다 0.001포인트 하락했고, 소비지출 지니계수는 0.254로 0.005포인트 커졌다. 0∼1 사이 값을 갖는 지니계수는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 정도가 심한 것을 의미한다.

임 부연구위원은 “빈곤율은 2009년 정점을 찍은 뒤 개선되는 경향을 보여 왔는데 2013년에 특히 지출빈곤율을 중심으로 악화됐다”며 “경기회복과 복지지출 확대로 빈곤율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