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업무보고] 육상재난 30분-해상 1시간내 특수구조대 출동

입력 2015-01-22 01:39
국민안전처가 21일 안전혁신 분야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중점과제로 제시한 것은 신속 대응체계 확립과 생애주기별 맞춤형 안전교육이다.

안전처는 중앙소방본부와 해경경비안전본부의 특수구조 인력 및 장치 확충, 기구 신설, 반복 훈련 등을 통해 전국 어디서라도 육상재난은 30분 이내, 해상재난은 1시간 이내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서둘러 확립할 계획이다.

육상재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현재 수도권과 영남권 등 2곳에 있는 119특수구조대를 올해 충청·강원권과 호남권에도 신설해 4곳으로 늘린다.

현재 1곳(부산 중앙해양구조단)인 해양특수구조대는 5곳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올해 안에 동해시에 동해해양구조대를, 목포시에 서해해양구조대를 신설하고 이후 중부해양구조대(인천)와 남해해양구조대(제주)를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다.

재난현장 표준 대응체계도 가동된다. 재난 발생 초기에는 소방서장과 해경안전서장이 지원 인력인 군·경 등을 포함해 현장 지휘를 총괄한다. 인명구조와 수색이 완료되는 시점에서는 지방자치단체가 통합지원본부를 가동해 수습을 주도한다. 안전처는 2월 중으로 시범 시·군·구를 선정, 1년간 시범 운영한 후 보완해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초·중·고 학생에게 안전교육을 의무화하고 영유아기, 청소년기, 청장년기, 노년기로 나눠 생애주기별 국민안전교육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종합안전체험관도 각 시·도당 1곳씩 연차적으로 늘려 나간다.

노후 산업단지 등 민간의 위험시설을 보수·보강할 수 있도록 2017년까지 안전투자펀드 5조원을 저리로 지원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라동철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