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정보화사업비 ‘5조2000억’ 쏟아진다

입력 2015-01-22 03:42

정부가 올해 국가정보화 사업에 5조2094억원을 투자한다. 신성장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과 사물인터넷(IoT)은 지난해보다 예산을 대폭 늘린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1일 이 같은 내용의 ‘2015년도 국가정보화 시행계획’을 발표했다. 지난해보다 사업개수는 11.5%, 예산은 5.9% 늘어났다. 중앙행정기관(53개 기관)은 846개 사업(신규 88개)에 4조1070억원을 투자하며, 지방자치단체(17개 광역시·도, 227개 시군구)는 6709개 사업(신규 1270개)에 1조1024억원(행정자치부 집계)을 투자할 계획이다.

중앙행정기관은 창조비타민 등 창조경제 실현 및 경제혁신 3개년 계획 추진 등을 지원한다. 특히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신기술의 지속적 확산을 위해 투자를 늘린다. IoT는 지난해 516억원보다 34% 늘어난 692억원의 예산이 책정됐고, 클라우드 컴퓨팅은 지난해 1252억원에서 올해 1937억원으로 54% 늘어났다.

정보보호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사물인터넷 보안 등 ‘ICT 산업융합 보안솔루션 개발사업’(30억원)과 ‘인터넷 침해대응센터 이중화’(10억원) 등도 본격 추진한다.

미래부는 또 창업 초기 단계에 있는 소기업의 인력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대표이사의 연구원 겸직을 허용키로 했다. 미래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일부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개정안에는 창업 초기 소기업의 대표이사더라도 학위·전공·자격증 등 연구원의 요건을 충족한 경우에는 연구원 자격을 허용하는 내용이 담겼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