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악재’ 울고 싶은 철강업계

입력 2015-01-21 01:43

철강업계가 수요부진, 세계적 공급과잉, 중국산 저가공세에 시달리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이달부터 본격 시행된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ETS)까지 업계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형편이다.

한국철강협회는 지난해 우리나라가 2274만t의 철강을 수입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0일 밝혔다. 전년 대비 17.3% 증가한 수치로, 내수 대비 수입 철강재 비중은 40.9%에 달했다. 주요 철강생산국 중 수입 철강 비중이 40% 안팎인 나라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저가 중국산 철강 수입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중국산 철강 수입은 전년 대비 34.9% 늘어난 1340만t으로, 철강 공급부족을 겪었던 2008년 1431만t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물량이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중국의 철강 생산 공급과잉 규모가 2억5000만t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며 “당분간 중국산 저가 공세가 계속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달부터 시행되기 시작한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도 업종 특성상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을 수밖에 없는 철강업계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철강업계가 정부에 요청한 탄소배출권 총량은 3억2700만t이지만, 정부가 책정한 배출 총량은 3억600만t으로 2100만t이 부족하다. 정부가 제시한 기준가격인 t당 1만원으로 환산하면 2100억원 규모다. 배출권 거래제로 인한 업계 부담금은 이후 3년간 2100억∼6300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주요 국내 철강사의 지난해 상반기 영업이익률이 3.0%에 그쳤음을 감안하면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포스코 권오준 회장과 동국제강 장세주 회장 등이 지난 12일 열린 철강업계 신년 인사회에서 배출권 거래제 보완을 강조한 이유다.

우리나라 철강 수입국들의 견제도 심해지고 있다. 지난해 11월말 기준 한국 철강업계는 전 세계 16개국에서 59건의 수입규제조치 및 조사를 받고 있으며, 미국의 반덤핑 관세 부과 조치로 업체별로 9.89∼15.75%의 관세를 부담하고 있는 상태다.

올해 수출 전망도 좋지 않다. 한국철강협회나 포스코 등 주요 철강업체들은 올해 철강재 수출 증가율을 2.0∼2.2%로 전망했다. 중국의 공급확대 지속 및 엔저 등에 따른 경쟁심화, 무역규제 움직임 확산 등이 낮은 성장률의 원인이다.

포스코 등 국내 철강업체들은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과 구조조정, 신시장 개척 등을 통해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포스코 권 회장은 22일 인도 마하라스트라주의 연산 180만t 규모의 냉연 공장 준공식에 참석하기 위해 출국한다. 인도는 2017년까지 연간 조강소비량이 1억400만t을 상회할 것으로 추산되고 철강 소비량도 연간 6% 이상의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 거대 시장이다. 동국제강 역시 글로벌 생산체제 구축을 위해 내년 초 준공을 목표로 브라질에 연산 300만t 규모의 일관제철소를 건설 중이다. 지난해 동부특수강 인수 등으로 몸집을 키운 현대제철은 올해 내실 강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를 목표로 세웠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