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종단열차 8월 시범운행 추진

입력 2015-01-20 03:18 수정 2015-01-20 10:10
정부는 광복 70주년을 맞아 오는 8월을 전후해 열차로 서울에서 신의주·나진을 각각 다녀오는 한반도 종단열차의 시범 운행을 추진키로 했다.

한반도 평화통일 준비를 위한 국가 책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평화통일기반구축법’(가칭)을 연내 제정키로 했다. 남북 문화교류 거점인 남북겨레문화원 서울·평양 동시 개설도 추진된다.

통일부와 외교부는 19일 청와대에서 이런 내용을 포함한 ‘통일준비’ 부문 업무계획을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류길재 통일부 장관은 총괄보고에서 올해 통일준비 4대 추진 전략으로 ‘국민적 합의 기반 마련’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 보장’ ‘통일을 지향하는 대화와 협력’ ‘신뢰 외교를 통한 국제적 통일기반 조성’ 등을 보고했다.

통일부는 우선 광복·분단 70주년을 맞는 올해를 ‘한반도 통일시대 개막의 해’로 정한 뒤 실질적인 통일준비를 위해 평화통일기반구축법을 제정하기로 했다. 정부가 바뀌어도 흔들림 없이 통일을 준비하도록 제도화하자는 취지다. 현재 대통령령으로 운영 중인 민관 공동협의체 통일준비위원회의 법적 근거가 이 법으로 대체되며, 통일준비 인력 양성 및 부처별 전담관 지정 등의 내용이 담길 예정이다.

또 남북 당국 간 대화를 통해 이산가족·국군포로·납북자 문제 등 인도적 문제 해결을 추진하기로 했다. 대화가 성사되면 북측에 ‘광복 70주년 남북공동기념위원회’(가칭) 구성을 제안, 공동 기념행사 개최를 제안할 방침이다. 아울러 경의선을 이용해 서울∼신의주·나진까지 운행하는 한반도 종단열차 2개 노선을 올해 안에 운행하는 방안도 구상 중이다. 류 장관은 “8·15를 전후해 이뤄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외교부는 국제적 통일기반 조성을 위해 한반도와 주변정세 변화 주도, 평화통일 신뢰 인프라 구축, 글로벌 통일 네트워크 강화 추진 등 올해 목표를 보고했다. 이를 위한 핵심 과제로 북핵 문제 진전을 위한 한·미·일, 한·미·중, 한·중·일 등 소(小)다자 협력 적극 활용,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과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추진 가속화, 유엔 외교를 통한 한반도 상황 개선 등을 보고했다.

박 대통령은 업무보고 자리에서 남북 간 실질적인 대화 개최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남북 교류와 협력의 질을 높이고 작은 협력부터 이뤄가려면 조속히 남북 간에 통일 준비를 위한 실질적인 대화가 시작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어떤 형식의 대화를 하든 국민의 마음을 모아 협상을 해나가고 북한이 호응해올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데 노력해 달라”고 주문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