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일보 건강섹션 ‘암과의 동행’에서는 암환자들에 대한 올바른 생활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암환자 생활백서’ 연재를 시작합니다. 이번 연재는 보건복지부가 주관하고 국립암센터가 운영하는 국가암정보센터와 공동기획으로 진행됩니다.
암환자들은 의료진으로부터 암이라는 말을 듣게 되면 한동안 매우 두렵고 혼란스러움을 느낀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차츰 현실을 인정하고, 병을 이겨내기 위해 치료를 받을 마음의 준비를 한다. 물론 암을 상대하고 이겨내는 일이 쉽지는 않다. 그러나 암은 두려움의 대상이 아니며, 환자 혼자 외롭게 짊어진 아픔도 아니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특히 암환자의 가족과 친지, 친구 등 주변의 도움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함께 암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가져야 한다. 필요하다면 심리전문가에게 마음의 고통을 털어놓고 치유 방법을 찾는 것도 좋다. 또한 암환자의 정신적인 어려움도 조기에 발견해 대처해야 한다. 암은 긍정적으로, 적극적으로 맞서면 당초의 두려움은 언제든지 희망으로 바뀔 수 있다.
암환자가 마음을 다스리기 위해서는 스스로를 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예전에 문제가 생겼을 때 어떻게 대처하고 해결했는지를 돌아본다. 어떤 자세로 대했고 무슨 방법으로 해결했는지를 떠올려 암이라는 지금의 문제에 적용해야 한다. 또한 현재 기분을 보다 낫게 해줄 일이 무엇인지를 고민하고 실행하며, 기분을 좋지 않게 만드는 일들은 멀리한다. 따라서 명상이나 이완 등 감정 조절을 돕는 방법들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아무리 암에 잘 대처한다 해도 의기소침해질 때가 있다. 따라서 기분이 저조해지는 일이 잦거나 정도가 심해진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가까운 사람, 서로 존중하고 믿는 사람에게는 걱정거리들을 비밀로 하지 않아야 한다. 치료를 의논하러 의사에게 갈 때에도 주위 사람들에게 함께 가자고 부탁하자. 마음이 불안하면 의사의 이야기가 제대로 들리지 않아 중요한 정보를 놓칠 수 있기 때문이다. 암환자와 함께하는 이들은 치료과정에서 조력자이자 동반자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정신과 전문의, 임상심리사, 사회복지사 등 전문가와의 상담을 부끄럽게 생각하면 안 된다. 이러한 상담은 암환자 스스로가 자신의 상황을 극복하겠다는 강한 의지의 표명이기 때문에, 심리 상담을 통해 마음을 추스르면 암으로 인한 증상들을 더 잘 견뎌내고 치료 효과도 향상될 수 있다.
정리=송병기 기자 songbk@kukimedia.co.kr
[암환자 생활백서] (1) 마음가짐
입력 2015-01-19 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