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기록물 통합 관리할 기록원 만든다

입력 2015-01-19 04:02

서울의 중요 시정 기록물 등 100만여 점을 통합·관리할 서울기록원(조감도)이 2017년 9월 은평구 옛 질병관리본부 자리에 들어선다. 지방자치단체가 문서, 사진, 영상, 박물 등 중요 시정기록물을 통합·관리하는 자체 기록원을 건립하는 것은 처음이다.

서울시는 수도 서울의 역사가 담긴 주요 시정기록물들을 제대로 보존·관리해 미래세대에게 물려주자는 취지에서 서울기록원을 건립하기로 했다고 18일 밝혔다.

오는 9월 착공해 2년 후 개관할 이곳에는 서울시청 서소문별관 지하, 신청사 도서관 지하, 자치구 등에 분산돼 있는 중요 기록물과 경북 청도군 화양읍 청도문서고에 있는 자료 등이 모두 보관될 예정이다. 보존기간 30년 이상 기록물, 도면 등 증빙적 성격을 지닌 준영구 기록물, 서울시 주요 정책 자료 등은 물론 세월호 관련 민간기록물까지 한자리에 모이게 된다.

시는 서울기록원이 건립되면 핵심 기록물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시정 자료 접근성도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시는 1968년 김신조 사건 이후 위기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청도문서고를 만들어 71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는 7만6036권의 문서·도면·카드 등 종이기록물과 30년 이상 보존문서 32권, 마이크로필름 8001롤이 소장돼 있지만 서울에서 자동차로도 5시간 이상 걸려 이용자는 한 달에 1∼2명에 불과하다.

시는 뉴욕, 런던, 베이징, 도쿄 등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수도의 80% 이상이 전문화, 특화된 기록물관리기관을 자체 운영하고 있다며 서울기록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시는 서울기록원에 대한 설계공모를 통해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의 ‘기록의 터(Land Monument)’를 최종 당선작으로 선정했다. 당선작에 따르면 서울기록원은 대지면적 8998㎡에 지하2층·지상5층, 연면적 1만5920㎡ 규모로 지어진다. 공사비는 설계비를 포함, 368억원이 들어갈 계획이다.

천석현 시 도시기반시설본부장은 “서울기록원을 기록보존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열린문화공간으로 조성해 서울을 대표하는 명소로 키워나가겠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