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9 보궐선거 D-100 전략] 새누리당, 종북 세력 심판·지역일꾼론 부각

입력 2015-01-19 01:45
옛 통합진보당 의원들의 의원직 상실로 인해 치러지는 4·29보궐선거가 19일 기준으로 1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선거구가 3개밖에 되지 않는 ‘미니’ 보선이지만 정치적 의미는 결코 ‘미니’가 아니다.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이 야기된 이후 첫 선거라는 점에서 민심의 향배에 관심이 집중된다. 박근혜정부 집권 3년차에 실시되는 선거라 정국 주도권을 쥐려는 여야의 사투가 예상된다. 재야·진보 진영의 ‘국민모임’이 독자 후보를 낼 경우 야권 재편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새누리당은 4·29보선 지역 세 곳이 모두 상대적으로 취약지역임을 감안해 조기에 후보자를 확정하는 선제적 행보에 나섰다. 새정치민주연합이 전당대회로 어수선한 틈을 타 후보자를 먼저 정해 선점 효과를 노리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새누리당은 이군현 사무총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공직후보자추천관리위(공천관리위) 구성을 마치고 지난 16일 후보자 추천신청 공고를 냈다. 19일부터 23일까지 신청을 받은 뒤 늦어도 2월 초에는 후보자를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서울 관악을에는 오신환 당협위원장과 김철수 전 당협위원장(양지병원장), 김일우 당 중앙위 평화통일분과 부위원장 등이, 광주 서을에는 조준성 전 광주시당 사무처장이 예비후보 등록을 마쳤다. 경기 성남중원에는 신상진 전 의원(현 당협위원장)이 출마 의사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새누리당은 서울 관악을과 광주 서을에서 그동안 한 차례도 승리한 경험이 없다. 두 지역구는 1998년 각각 관악구 갑·을, 서구 갑·을로 분구됐다. 신 전 의원은 2005년 4·30재선거와 18대 총선 때 성남중원에서 승리했지만, 이 지역 역시 야권 성향이 강한 곳이다. 새누리당은 이에 따라 거물급 후보를 내세워 판을 키우는 대신 ‘지역일꾼론’으로 승부를 걸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헌법재판소의 통합진보당 해산 판결이 ‘종북 세력에 대한 심판’인 점을 부각해 야권 연대의 책임도 묻겠다는 계획이다.

새누리당으로서는 세 지역에서 한 곳 이상의 승리를 얻을 경우 향후 정국 주도권을 안정적으로 쥘 수 있다.

이 사무총장은 18일 라디오에 나와 “후보자를 빨리 결정해 주는 것이 지역민들에 대한 예의”라며 “가급적 빨리 심사를 해서 2월 초순에는 후보자를 확정 지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번 선거는) 19대 총선에서 ‘정치공학’적으로 야권연대를 했던 잘못을 국민에게 알리고, 지역을 대표해서 국가의 일을 돌볼 수 있는 지역대표를 뽑는 선거”라며 “대한민국 헌법의 기본정신에 어긋나는 종북 세력에 대한 국민적 심판의 선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