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2018 평창동계올림픽 분산개최 논란에 마침표를 찍었다.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구닐라 린드베리(사진) IOC 평창올림픽 조정위원장은 16일 강릉에서 비공개로 열린 제4차 IOC 프로젝트 리뷰 본회의에 앞서 개회사를 통해 “IOC는 ‘어젠다 2020’을 발표하면서 올림픽 종목을 개최지 이외의 도시에서도 열릴 수 있도록 제안했으나, 평창은 현재 계획한 장소 그대로 경기를 치르기로 했다”며 “평창올림픽의 분산개최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로써 그동안 논란이 된 외국 및 국내 분산개최를 비롯해 도내 경기장 재배치 문제 등이 일단락될 전망이다. IOC는 한국 정부와 조직위, 강원도의 대회 분산불가 방침을 재차 확인한 뒤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프로젝트 리뷰는 3월로 예정된 IOC 조정위원회 회의에 앞서 실무 점검을 하는 절차다. 이번 방문에서 대회 준비 상황과 현안을 점검한 린드베리 위원장은 “2017년 프레올림픽까지 모든 준비를 끝내는 것이 중요한 만큼 IOC가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대회 준비 과정이 본격화되면서 중요한 우선 과제들에 대해 평창조직위에서 준비를 잘 추진하고 있어 강한 신뢰감을 느끼게 됐다”고 덧붙였다.
조양호 평창조직위원장은 “지난해 취임 이후 무거운 책임감과 사명감으로 최선을 기울인 결과 신설 경기장 착공 등 구체적인 성과가 있었다”며 “앞으로 조직위가 중심이 돼 대회 준비 과정을 철저히 관리해 성공적인 대회가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전날 첫 회의에서 IOC 관계자들은 경기장 건설 상황 등에 대한 브리핑을 청취하며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특히 IOC는 경기장 건설 지연에 따른 우려보다는 대회 준비에 대한 기대감을 표출했으며 관중 이동통로, 장애인 접근성, 경기장 관리 주체 등에 대해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IOC의 입장 표명에도 불구하고 예산 및 환경 문제를 들어 분산개최를 주장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특히 강원도 일부 시민단체들은 분산개최 수용을 촉구하는 범도민 운동은 물론 대회 반납운동까지 거론하며 반발하고 있다.
강원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등은 리뷰 본회의장 앞에서 분산개최를 요구하는 집회를 갖고 “환경 파괴와 심각한 재정 적자로 인해 강원도민들의 민생복지가 파탄날 것이 불 보듯 뻔하다”며 “IOC는 강원도 재정 악화와 환경 훼손 문제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고 분산개최를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부 회원은 회의장 진입을 시도하다 제지당했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
“평창 동계올림픽 분산 개최 안한다”
입력 2015-01-17 0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