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일본 전문가들이 잇따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종전 70주년을 맞는 올해에 과거사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미국 아태안보센터 소속 제프리 호넝 교수는 14일(이하 현지시간) 외교전문지 ‘포린 어페어스’에 기고한 글에서 아베 총리의 사과를 촉구했다. 호넝 교수는 “아베 총리는 과거사 논쟁이 양쪽 다 손해를 보는 ‘루즈-루즈(lose-lose) 게임’이며 국제사회가 결코 일본 편을 들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빌리 브란트 전 서독 총리가 1970년 폴란드 바르샤바 유대인 추모비 앞에서 무릎을 꿇고 사과한 일을 소개했다. 그는 “(아베 총리도) 미국에 세워진 일본군 위안부 동상들을 끌어안고 주한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의 빈 의자에 장미꽃을 헌화하라”고 주문했다.
미국기업연구소(AEI)의 마이클 오슬린 연구원도 온라인 잡지인 ‘더 코멘테이터’에 아베 총리가 1995년 무라야마 담화를 토대로 공식 사과해야 한다는 글을 게재했다. 오슬린 연구원은 “과거를 ‘후회(remorse)’한다는 것은 자기를 향한 것이지만 ‘사죄(apology)’한다는 것은 밖을 향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아베 총리는 이런 국제 여론에 아랑곳하지 않는 분위기다. 그는 15일 총리관저에서 방일 중인 한일의원연맹 소속 새누리당 서청원 의원 등 한국 의원들을 만난 자리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가슴 아픈 일”이라며 “고노(河野) 담화를 부정하지 않으며 계승한다”고 기존의 입장만 되풀이했다. 그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의 진전된 조치나 구상을 일절 밝히지 않았다. 대신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정치, 외교 문제가 되는 것은 안타깝다”고 주장했다.
이런 가운데 일본 정부는 올해 3월까지 적용되는 지난해 추경 예산안과 올해 예산안에서 ‘전략적 대외 발신’ 예산을 500억엔(약 4610억원) 증액했다고 밝혔다. 이 예산은 역사·영토 문제에 관한 일본의 주장을 국제사회에 전파하기 위한 것이다. 일본은 역사·영토 문제를 국제사회에 더 효과적으로 전하기 위해 국제방송을 신설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미국 내 일본 전문가들도 “아베, 사과하라”
입력 2015-01-16 0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