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섭 행자부 장관 “4·3사건 희생자 재심 필요”

입력 2015-01-16 03:48

제주4·3사건 희생자 명예회복사업 주무 부처 장관이 일부 희생자에 대한 재심 필요성을 거론했다.

정종섭(사진) 행정자치부 장관은 15일 남산에 있는 안중근 의사 기념관을 방문한 자리에서 “희생자로 지정된 일부 인사가 무장대 수괴급이라는 논란이 해소되지 않고서는 대통령의 위패 참배가 어렵다”며 “올해 4·3 국가추념일 전에 희생자 재심 실시 여부와 그 결정에 따른 재심 절차를 모두 끝내고 논란을 종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이어 “그러한 주장이 사실이라면 희생자 지정을 취소하는 것이 옳다는 데 대해서는 4·3위원회 소위원회에서도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전했다.

지난 14일 국무총리 소속 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4·3위원회)는 정부서울청사에서 소위원회 간담회를 열어 4·3사건 희생자 재심의와 관련한 문제를 논의했으나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4·3위원회는 지난해 초 일부 단체가 “희생자 중 무장대 수괴급 및 남로당 핵심간부가 일부 포함됐다”고 주장하며 민원을 제기해 진상을 조사해 왔다. 논란이 되는 인사는 전체 희생자 1만4000명의 일부인 50여명 정도로 알려졌다. 위원회는 빠른 시일 내에 간담회를 다시 열어 재심 여부에 대한 결론을 내릴 예정이다.

그러나 4·3관련 5개 단체는 지난 12일 기자회견을 열어 “4·3사건 희생자 재심의 착수 발언은 도민을 우롱하는 반역사적 발언”이라며 국회 차원의 진상조사를 요구하는 등 반발하고 있다.

4·3사건은 1948년 4월 3일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수많은 주민이 희생된 사건이다.

라동철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