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올해 새 기업이 탄생하고 성장할 수 있는 ‘창의 환경’을 조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창조경제 기본 계획을 본격 가동한다. 경기도 판교와 서울 테헤란로에는 각각 창조경제밸리, 하이테크 창업 캠퍼스를 조성해 스마트와 소프트웨어 산업 관련 스타트업을 집중 육성한다. 전국 17개 시·도에는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문을 열고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들의 중국 진출을 돕기 위해 무역협회에 ‘차이나 데스크(China Desk)’도 설치된다.
미래창조과학부 등의 15일 업무보고에 따르면 스타트업의 기술창업을 지원하기 위해 판교에 창조경제밸리센터가 조성된다. 정부는 판교의 경우 현재 10대 게임업체 안에 드는 기업 7개가 위치해 있기 때문에 이와 연계된 업체들의 창업이나 기업 운영이 용이할 것으로 보고 있다. 판교 창조경제밸리센터를 게임산업 클러스터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우수한 게임 인프라가 이미 마련돼 있기 때문에 이와 연계되는 콘텐츠 등 다양한 사업을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는 하이테크 창업 캠퍼스를 설치해 창업의 질을 높일 뿐 아니라 성장을 지원한다. 이곳에 1만㎡ 규모로 설치되는 하이테크 창업 캠퍼스에는 창업팀뿐 아니라 투자사 등도 함께 입주한다. 민간 창업양성 업체 등과 협력해 미국 실리콘밸리식 네트워킹 환경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2017년까지 이곳에는 160개팀이 입주하며, 이들은 정부로부터 입주팀별로 최대 10억원씩 지원받는다.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들의 기술과 역량을 검증하고 비즈니스 모델 개발 지원을 담당하는 창조경제혁신센터도 올해 상반기 내 전국 17개 시·도에서 모두 문을 연다. 센터는 대기업과 일대일 전담 지원체계를 갖춰 업체의 아이디어를 적극 발굴토록 지원하고 해외 진출까지 지원한다. 창조경제혁신센터에는 ‘파이낸스 존’도 설치돼 정책금융기관 직원들이 상주하며 금융 상담도 진행한다. 현재는 대구(삼성·전자 분야), 경북(삼성·전자 분야), 대전(SK·ICT 분야), 전북(효성·탄소섬유 분야)에서 대기업과 일대일로 연계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운영 중이다. 여기에 서울(CJ·문화 분야), 경기(KT·IT서비스 분야), 충남(한화·태양광에너지 분야), 충북(LG·전자정보-바이오 분야), 전남(현대차·자동차 분야) 등을 추가한다는 것이다.
기존 산업을 스마트화하기 위한 선제적 투자도 이뤄진다. 정부는 ICT(정보통신기술)를 산업 전반에 융합하는 ‘창조 비타민 2.0’을 2014년 57개에서 2015년 90개로 확대한다. 또 제조 현장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제품 설계 단계부터 생산, 유통까지 전 과정을 ICT 기술로 통합하는 ‘스마트 공장’을 올해 1000개 열고 2017년 4000개, 2020년까지 1만개로 늘릴 예정이다. 현재 7조6000억원 규모인 사이버 보안산업도 2017년까지 14조원으로 2배 키운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기술창업 단계에서 지원을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글로벌 무대로 진출할 수 있도록 적극 나서기로 했다. 특히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발효에 대비, 중국 내수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오는 3월 무역협회에 ‘차이나 데스크’를 설치한다. 차이나 데스크를 통해 원산지 관리와 수출시장 개척, 비관세 장벽 해소 등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원스톱으로 지원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FTA를 활용하지 못하는 기업에 대한 안내와 컨설팅도 이뤄져 FTA 활용률을 올해 65%까지 높이기로 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5개 부처 업무보고] 판교·테헤란로 축으로 ‘新성장산업’ 창업 돕는다
입력 2015-01-16 0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