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은 15일 음종환 전 청와대 선임행정관 파면과 검찰 수사를 주장하고 나섰다.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 사건과 ‘정윤회씨 문건’ 파문의 불씨를 살리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은 오전 국회에서 열린 여야 대표와 원내대표 간 ‘2+2 연석회의’에 참석해 청와대를 비판하는 ‘작심 발언’을 쏟아냈다. 문 위원장은 “‘문고리 권력 3인방’, ‘십상시’에 이어 일개 행정관이 국정을 들었다 놨다 하는 지경까지 간 것은 기가 막힌 현실”이라며 “공직기강의 총본산이자 모범이 돼야 할 청와대가 국정농단에 휘둘리고 있다”고 했다.
우윤근 원내대표도 정책조정회의에서 “청와대발(發) 문건 유출과 민정수석의 항명에 이어 수첩 메모가 국민을 새해부터 혼돈으로 몰아넣고 있다”며 “청와대의 인적 쇄신과 (문건 파문에 대한) 특검 실시가 원만한 국정운영의 전제”라고 했다.
음 전 행정관에 대한 징계 요구도 쏟아졌다. 서영교 원내대변인은 “(청와대는) 면직 처리로 또 적당히 묻어두고 가려나보다”며 “이런 사람(음 전 행정관)에게는 청와대가 파면이나 해임 등의 징계를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검찰이 당장 음 전 행정관과 안봉근 청와대 제2부속비서관 등을 소환해 수사할 것을 요구했다.
김성수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정치사찰 의혹도 제기했다. 김 대변인은 일부 언론에 보도된 새누리당 유승민 의원과 이준석 전 비대위원의 발언을 언급하며 “정치사찰과 공작이 버젓이 자행되고 있으며, 일개 행정관이 한 짓이라고는 믿을 수 없다”며 “진상규명을 하는 데는 특검밖에 답이 없다”고 주장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몰아붙이는 野 “靑의혹 진상규명 특검밖에 답이 없다”
입력 2015-01-16 0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