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급성장하고 있는 실버산업에 진출하기 위해 국내 기업들이 고급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14일 ‘중국 실버산업을 주목하라’ 보고서에서 중국의 인구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실버산업이 중국 내수시장 진출의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떠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법정 은퇴연령인 60세 이상 노인인구는 2000년 1억3000만명에서 2013년 2억명으로 늘었다. 유엔은 중국의 베이비부머들이 지속적으로 고령화되면서 2030년에는 60세 이상 노인인구가 미국 인구보다 많은 3억50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노인인구 증가로 중국 실버산업 규모는 2014년 4조 위안에서 2050년 106조 위안(약 17조 달러)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중국의 실버산업은 발전 초기단계로 각종 서비스도 열악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 때문에 보고서는 국내 기업들이 차별화된 프리미엄 전략으로 중국에 진출해야 성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첨단 IT기술을 접목한 헬스케어, 노인전용 전자제품, 애플리케이션이나 천연건강보조제 등이 유망제품으로 꼽혔다. 중국 기업과의 합작을 통한 양로서비스 노하우 및 시스템 수출도 각광받는 분야다. 최근 중국에서는 실버타운, 노인아파트 등 양로부동산이 인기를 얻고 있지만 제대로 된 양로서비스 경험이나 노하우를 갖추지 못했다.
보고서는 또 온라인 쇼핑몰을 활용한 실버마켓에 주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2014년 6월 현재 중국의 60세 이상 인터넷 사용자 수는 1327만명으로 2008년 447만명에 비해 3배나 증가했다. 노인들의 인터넷 사용이 늘면서 중국 최대 온라인 쇼핑몰인 타오바오에는 노인용품 판매가 늘어나는 등 향후 온라인 쇼핑몰이 실버마켓의 주요한 유통채널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노용택 기자
“중국 노인인구 벌써 2억명… 실버산업 새 블루오션될 것”
입력 2015-01-15 0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