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12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여러 차례 제기된 ‘불통’ 지적을 적극 반박했다. 국민과 정치권, 내각과의 소통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박 대통령은 “여야 지도자들을 청와대에 초청해 대화할 기회를 많이 가지려고 했는데 딱지를 맞았다고 해야 되나, 거부하는 일이 몇 차례 있었다”고 말했다. ‘만나고 싶은 사람만 만나고, 하고 싶은 말만 한다’는 의견에 대한 대답이었다. 박 대통령은 “어쨌든 앞으로 국회와 더욱 소통하고 여야 지도자들과도 자주 만남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당청 관계와 관련해선 “여당은 국정을 같이해 나가야 할 동반자”라며 “새해 들어 더욱 긴밀하게 협력하겠다”고 다짐했다. 특히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관계가 소원한 것 아니냐는 물음에 “언제든지 만날 수 있다. 만나겠다”고 했다. 박 대통령은 질문 도중 ‘친박’(친박근혜)이란 단어가 나오자 멋쩍은 표정으로 “지금도 친박 이야기가 계속 이어지는데 이걸 언제 떼어내 버려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지난달 19일 대선승리 2주년에 친박 중진 의원들만 따로 불러 만찬을 한 사실이 거론되자 “그분들이 한번 식사를 했으면 좋겠다고 요청을 해왔는데 일정이 안 맞아서 늦추다가 기가 막히게 그렇게 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김무성 대표는 “(박 대통령과) 언제든 필요하면 연락하겠다”고 화답했다. 그는 박 대통령기자회견에 대한 입장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다 좋은 말씀을 하셨다”면서 “경제 살리기가 제일 중요하다는 말에 공감했다”고 했다.
박 대통령은 세월호 유족들의 면담 요구를 거부한 사정도 설명했다. “국회에서 법안이 논의되고 있는데 대통령이 끼어들어 왈가왈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지난 2년간 민생·정책 현장에 직접 가서 의견을 듣고 청와대로 각계각층의 국민들을 초청해 이야기를 들었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개헌은 시기상 적절치 않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는 “개헌 논의를 시작하면 시급한 경제 문제는 뒷전에 가버린다”며 “지금은 그것(개헌)을 해서는 안 되지 않나 생각한다”고 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 관련기사 보기◀
[朴 대통령 신년 회견-이모저모] “여야 지도자가 여러번 딱지… 자주 만나겠다”
입력 2015-01-13 03:27 수정 2015-01-13 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