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 선제적 조치 합의에 따른 후폭풍이 거세다. 인천시는 선제적 조치의 경제적 효과가 수조원대에 달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시민단체와 노조, 야당은 수도권매립지의 사용연장을 전제로 한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인천시는 11일 선제적 조치 합의에 따른 경제적 이득효과가 매립면허 지분권 1조6000억원과 공유수면을 토지로 환산했을 때 가격 등을 포함해 2조5000억∼3조원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시는 또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이관에 따른 공사 자산이 8180억원이고, 개발 수익이 1조845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특히 수도권매립지 복합레저시설 조성에 따라 6조6833억원의 경제파급효과와 2500명의 일자리 창출을 예상하고 있다.
아울러 서울지하철 7호선, 인천지하철 1호선 연장시 5911억원의 경제적 효과가 파생되고, 반입료 50% 인상으로 연 500억원 이상의 기금 조성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새정치민주연합 인천시당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매립연장을 목적으로 4자 협의를 한 것은 잘못”이라며 “연 400억원을 서울시로부터 받고 인천시민 전체가 계속 고통을 받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연구용역을 바탕으로 2년 6개월 이내에 소각재 위주의 대체매립지를 조성하면 된다”고 주장했다. 수도권매립지가 있는 인천시 서구도 “‘2016년 수도권매립지종료 원칙’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노조는 성명을 통해 “수도권 3개 광역단체장과 환경부 장관의 퇴진을 요구하는 강력한 투쟁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인천=정창교 기자
인천시 “경제적 효과 수조원”… 野 “연장 목적” 반발
입력 2015-01-12 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