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벽두 ‘경제와 일자리’를 주제로 민생 투어에 나선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이번 주 ‘사이버 보안’과 관련된 일련의 정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10일(이하 현지시간) 백악관에 따르면 오바마 대통령은 북한의 소니영화사 해킹사건에 따른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이번 주 중에 사이버 보안을 강화하고 개인의 정보와 명의도용을 보호하기 위한 정책을 발표한다.
12일엔 워싱턴DC 소재 공정거래 기관인 연방거래위원회(FTC) 회의를 주재하면서 인터넷 ID 절취 행위를 막고 학생, 소비자, 기업 등의 ID 및 금융, 산업 정보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조처를 발표할 방침이다.
이날 마련되는 입법 및 행정명령 조치는 오바마 행정부가 지난해 말 출범시킨 ‘바이 시큐리티 이니셔티브’라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정부는 카드정보 유출 사건에 대응하기 위해 모든 신용카드에 IC팁을 탑재하도록 했고, 애플 페이 등 각종 간편결제와 핀테크를 강화하기로 했다.
13일에는 미국 사이버안보 총사령부 격인 국가사이버안보통신통합센터(NCCIC)를 방문해 사이버 보안 문제를 논의한다.
미국 국토안보부 산하 조직으로 2009년 11월 출범한 NCCIC는 국가를 상대로 한 각종 사이버 위협·테러에 대응하고 정보기술(IT) 인프라를 보호하기 위해 컴퓨터위기대응팀(US-CERT), 국가통신조정센터(NCC), 국가사이버안보센터(NCSC) 등 미국 정부기관들의 사이버 안보 기능을 통합·흡수했다.
이 자리에서는 정부와 민간부문 간 자발적인 정보 공유, 최근 미국 정부가 북한의 소행이라고 규정한 소니 영화사에 대한 해킹 등의 이슈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오바마 대통령의 행보는 최근 증가하는 인터넷 ID 절취 등 온라인 금융범죄에 대응한 측면도 있지만 북한의 소니 해킹으로 미 공공기관뿐 아니라 민간부문의 사이버 위협이 심각하게 대두된 점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오바마 대통령은 14일에는 아이오와주를 방문해 고속·광대역 인터넷망을 전국적으로 확대할 구상을 밝힐 예정이다. 20일로 예정된 오바마 대통령의 새해 국정연설에서도 이들 사이버 이슈에 대한 입법 제안이나 행정명령 발동 계획이 주요 내용으로 담길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bwbae@kmib.co.kr
‘北 해킹’ 막기… 오바마, 사이버 안보 구상 내놓는다
입력 2015-01-12 0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