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중점기술 분야에서 한국보다 우위를 확보하는 분야가 늘어나는 등 두 나라 간 기술격차가 빠르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이 11일 발표한 ‘한·중·일·독 과학기술 경쟁력 비교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 기준 한·중 간 85개 중점기술 분야 중 한국이 중국보다 뒤진 기술은 13개 분야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특히 전자정보통신, 바이오 등 7대 중점 과학기술 분야 중 의료, 기계·제조·공정, 나노·소재 부분에서 최고기술국과의 기술격차를 크게 줄인 것으로 평가됐다.
보고서는 한국을 포함한 4개국의 과학기술 경쟁력을 국가 간 경제규모 차이를 반영한 상대적 지표와 절대적 지표로 나눠 분석했다. 상대적 지표에서는 한국이 비교적 우월한 경쟁력을 보였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R&D) 투자 비중은 2012년 기준 4.36%로 일본(3.35%) 독일(2.98%) 중국(1.98%)을 모두 앞섰다. 경제활동인구 1000명당 연구원 수도 12.4명으로 4개국 중 가장 많았다. 그러나 절대적 지표에서는 한국이 모든 측면에서 가장 뒤처졌다. 한국의 R&D 투자 규모는 654억 달러, 연구원 수는 31만6000명으로 1위인 중국(2935억 달러·140만4000명)의 4분의 1도 되지 않았다. 특허 출원건수는 1만2000건으로 일본의 25%, 중국·독일의 60% 수준에 머물렀다.
보고서는 “과학기술 분야의 질적 성장을 통해 중국에 대한 양적 열세를 극복하고, 과학기술인재 양성을 지원하기 위해 기초연구 예산을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韓, 中에 중점기술 13개 추월당해
입력 2015-01-12 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