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북한은 이후 열흘간 대북전단 살포, 한·미 합동군사훈련 중단 등을 대화의 ‘전제조건’으로 내걸며 우리 정부를 압박하고 있다. 여기에 소니픽처스 해킹과 관련한 미국의 대북 제재까지 맞물려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이끌어내기가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박 대통령이 새로운 대북 제안을 추가로 던지기보다는 기존의 원칙적 입장에서 남북대화를 촉구할 것이란 관측이 많다. 북한이 대화 주도권을 잡기 위해 여러 조건을 내세우는 상황에 휘말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대신 올해가 광복 및 분단 70주년인 점을 강조하며 남북대화 필요성을 거듭 설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연장선상에서 지난해 신년 회견과 마찬가지로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제안할 가능성은 있다. 이밖에 전면적인 생사 확인, 서신왕래나 수시 상봉행사도 제안할 것으로 보인다. 남북대화 형식에 있어서도 정상회담을 거론하기보다 장관급 회담이나 고위급 접촉 재개 등 단계적 접근을 언급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하지만 일각에선 올해가 남북관계 진전을 위한 ‘골든타임’인 만큼 5·24조치 해제, 금강산 관광 재개 같은 ‘파격 제안’을 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의견도 나온다.
올해가 경제혁신 3개년 계획에 따른 예산이 처음 집행되는 해인 만큼 경제 활성화 메시지도 피력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선 노동·금융·교육·공공기관 등 4대 핵심 분야의 구조개혁을 강조하면서 국회와 국민의 적극적인 협조, 동참을 당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 대통령의 기자회견은 지난해처럼 오전 10시부터 한 시간 반가량 진행되며 TV로 생중계된다. 국무총리를 비롯해 각 부처 장관, 대통령 비서실장을 포함한 청와대 참모진, 내외신 기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박 대통령이 먼저 약 15분 분량의 새해 구상을 밝히고 기자들과의 일문일답 형식으로 진행한다. 기자들과의 문답 과정에서 구체적인 경제 활성화 대책과 각종 사회 현안, 한·일 관계 해법 등 외교 문제 전반에 대한 박 대통령의 구상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과정에서 인적 쇄신에 대한 박 대통령의 구체적인 생각이 나올 수도 있다. 지난해 10명 정도였던 질문 기자 수가 올해는 15명 안팎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