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교과서에 ‘위안부’ 삭제 허용

입력 2015-01-10 04:00
일본 정부가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군 위안부 관련 기술을 삭제하겠다며 한 민간 출판사가 낸 신청을 받아들였다고 요미우리신문이 9일 보도했다.

도쿄에 위치한 교과서 업체 스우켄 출판은 지난해 11월 20일 자사가 출간한 고등학교 공민과(사회) 교과서 3종에서 ‘종군위안부’ ‘강제연행’ 등 표현을 삭제하겠다며 정정신청을 냈고 문부과학성은 지난달 11일 이를 승인했다. 이에 따라 올해부터 이 회사에서 출판하는 고교 ‘현대사회’ 2종과 ‘정치·경제’ 1종 등 3개 교과서에서 해당 표현이 삭제된다.

출판사는 기존 ‘현대사회’ 교과서의 “종군위안부 문제, 강제연행·강제노동에 대한 보상 문제 등 미해결 문제가 있다”는 기술을 “일본에 피해를 본 개인이 ‘개인 보상은 해결되지 않았다’며 사죄를 요구하거나 보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냈다”고 수정했다. 일본의 과거 전쟁 범죄에 대한 책임을 일부 개인의 주장으로 축소한 것이다. 이번 개정은 지난해 8월 아사히신문이 군 위안부 관련 자사 보도를 철회하면서 군 위안부의 강제성을 부정하고 있는 아베 내각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해당 출판사는 개정 이유에 대해 ‘객관적 사정의 변경’이라고만 밝혔다. 문부과학성에 따르면 이 교과서 3종의 올해 점유율은 1.8∼8.7% 수준이다.

이에 대해 우리 외교부는 입장 자료를 내고 “(교과서 수정 승인은) 고노(河野) 담화로 일본이 국제사회에 한 약속과 유엔 인권위원회 특별보고관들의 보고 등을 통한 국제사회의 요구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이어 “새해에도 일본 정부가 이러한 우를 반복하는 경우 한·일 관계 개선에 심각한 장애를 초래할 것임을 엄중히 경고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우리 정부가 발간한 최초의 군 위안부 피해자 구술기록집 ‘들리나요’의 영문판이 이달부터 북미 지역에 배포된다. 피해 할머니 12명의 육성 기록으로 414쪽 분량이며 미국 소재 한인 사회적기업이 정부 의뢰를 받아 6개월여 만에 번역을 완료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증언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영문판 책자가 만들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백민정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