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뒤 730만명’ 치매 시한폭탄 안은 日

입력 2015-01-09 01:09

일본에서 2025년이면 치매를 앓는 환자가 최고 730만명까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노인 5명당 1명이 치매환자가 되는 셈이다.

일본 정부는 치매 노인 급증에 대비한 ‘국가전략’을 새로 수립해 대응하기로 했다. 일본은 65세 이상 연령층이 총인구의 20% 이상인 초고령사회다.

8일 마이니치신문 등에 따르면 후생노동성은 치매환자가 앞으로도 계속 증가하고, 특히 베이비붐 시기(1947∼49년생)에 탄생한 ‘단카이 세대’가 75세 이상이 되는 2025년에는 그 수가 675만∼730만명까지 치솟을 것이란 추계를 새로 발표했다.

후생노동성이 규슈대학과 공동 연구해 발표한 이번 추계는 최근 당뇨병 환자 증가 추세를 반영한 것이다. 당뇨병이 있으면 치매에 걸릴 확률도 2배 상승한다는 연구결과가 있기 때문이다.

일본에서 치매로 인한 사회문제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2012년 기준으로 치매에 걸린 65세 이상 고령자는 462만명으로 전체 노인 7명 중 1명꼴이다. 지난해 후생노동성은 해마다 1만명 정도의 치매환자가 실종되고 있다고 발표했다. 치매로 인해 방치되거나 학대받는 노인도 1만5000명이나 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늘어난 치매환자는 가족뿐만 아니라 사회에도 골칫거리가 된다. 도쿄에서는 83세 치매환자가 전날 승용차를 몰고 고속도로를 역주행하다가 사망사고를 냈다. 산케이신문은 2011∼2013년 발생한 역주행 사고 541건 중 37%(200건)가 치매환자에 의한 사고였다고 지적했다.

일본은 2013년부터 ‘오렌지플랜’이라는 치매대응 5개년 계획을 시행해 왔다. 그러나 이 계획은 치료나 환자보호에 무게를 두다 보니 예방과 초기 단계의 대응, 생활 전반적인 지원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일본 정부가 이달 중 발표할 ‘치매대응 국가전략’에서 이 부분을 대폭 개선한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2025년까지 추진될 이 국가전략은 치매에 대한 사회 전체의 대응력을 높이는 게 핵심 내용이다. 우선 치매환자와 가족들이 사회의 테두리 안에서 조화롭게 살아갈 수 있게끔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의료진이 직접 가정을 방문해 환자나 가족을 지원하는 ‘초기집중 지원팀’을 증강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현재 전체 1730개 기초자치단체 중 41곳에만 초기집중 지원팀이 설치돼 있는 것을 2018년도까지 전국 모든 기초자치단체로 확대하는 내용이다.

또 광역자치단체별로 상담창구를 설치하고 후생노동성, 경찰청, 내각부, 소비자청 등 관계부처가 공동 대응하는 체계를 갖추기로 했다. 지원 대상도 더욱 확대해 오렌지플랜에서 소외됐던 ‘젊은 치매(65세 이하 치매) 환자’ 3만8000명도 포함시키기로 했다. 아울러 의료기관 전문성 향상을 위해 내년까지 관련 주치의 6만명이 치매 조기진단에 관한 연수과정을 마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