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의 지난해 내수 점유율이 70% 밑으로 떨어진 것으로 8일 확인됐다. 1998년 현대차가 기아차를 인수·합병한 이후 내수 점유율이 70% 밑으로 추락한 것은 처음이다. 수입차 인기와 르노삼성자동차, 한국지엠 등 국내 다른 완성차업체들의 선전이 주된 이유다. 국내에서 압도적인 지배력을 가졌던 현대·기아차의 위상이 흔들릴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해 현대차의 내수 점유율은 41.3%로 전년(41.6%)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기아차의 내수 점유율은 28.0%로, 2009년(28.2%)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지난해 부분 파업의 영향도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현대·기아차의 내수 점유율은 2006년 70.8%에서 2009년 76.8%까지 올라 최고점을 찍은 뒤 2012년 74.6%, 2013년에는 71.4%까지 내려앉았다. 지난해는 1∼5월 꾸준히 70% 선을 유지했으나 6월부터는 60%대 후반에 머물렀다. 반면 지난해 수입차 판매량은 전년보다 25.5% 증가한 19만6359대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수입차의 내수 점유율은 2012년 10.01%를 기록하며 10%를 돌파한 이후 2013년 12.1%, 지난해는 13.95%로 집계됐다. 국내 다른 완성차업체들도 선전했다. 한국GM은 지난해 출범 12년 만에 연간 최대 판매 실적(15만4381대)을 올렸고, 르노삼성도 QM3의 인기에 힘입어 전년보다 33.3% 급증한 8만3대를 팔았다. 업계 관계자는 “수입차와 르노삼성, 한국지엠 등은 지난해 자동차 시장을 이끈 연비 좋은 소형 SUV, 디젤차 등에 강점을 보였다”며 “상대적으로 현대·기아차의 대응이 늦었다”고 분석했다.
현대·기아차의 올해 목표는 현대차 69만대, 기아차 48만대다. 지난해 판매(현대차 68만5191대, 기아차 46만5200대)와 큰 차이가 없는 수준이다. 그만큼 국내 시장 경쟁이 치열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현대·기아차는 올해 다양한 신차 출시를 통해 점유율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지난달 쏘나타 하이브리드를 출시한 데 이어 올해 쏘나타 1.6 터보, 쏘나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가 선보일 예정이고 투싼, 아반떼, K5 등 핵심 차종의 변경 모델들도 출시를 준비 중이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
현대·기아차 내수 점유율 70% 아래로
입력 2015-01-09 0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