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남북 정상회담 용의를 밝힌 북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신년사에 호응했다. 박 대통령은 6일 새해 처음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북한이 신년사에서 남북 간 대화와 교류에 진전된 뜻을 밝힌 것은 다행”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남측이 제의한 남북 당국 간 대화에 조속히 응할 것을 북에 촉구했다.
올해 광복·분단 70주년을 맞아 어떻게든 꽉 막힌 남북관계에 돌파구를 마련하겠다는 정부의 방침은 확고한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이 신년사와 국무회의에서 남북관계 개선을 올 국정의 핵심 과제로 제시한 데 이어 정부가 5년 만에 국가 예산으로 대북 지원에 나선 것이 그 증거다. 비록 민간단체를 통한 우회지원 형식이나 5·24조치 이후 처음으로 대북 지원사업에 남북협력기금을 투입한다는 점에서 전향적 조치가 분명하다. 더욱이 지원 품목에는 5·24조치로 북으로의 반출이 금지된 비료도 소량이나마 포함된다고 한다. 대화에 적극 나서고 남북관계 개선에 진정성을 보일 경우 5·24조치를 해제할 수 있다는 대북 시그널로도 볼 수 있다.
내놓을 카드는 다 내보였다. 의제를 국한하지 말고 남북 정상회담을 포함한 모든 문제를 대화 테이블에 올리자고 한 마당이다. 이제 북이 답할 차례다. “최고위급 회담도 못할 게 없다”는 김정은의 신년사가 진심이라면 당국 간 회담이나 고위급 접촉을 갖자는 남측 제의를 수락하지 않을 까닭이 없다. 북이 진정 남북관계를 개선하려는 의지가 있다면 어떤 조건도 달지 말고 주저 없이 대화의 장으로 나와야 한다.
새해 들어 북한도 대남 비방전을 극도로 자제하는 등 대화 분위기를 해치지 않으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매우 고무적이다. 이처럼 남북 당국이 어렵게 형성된 대화 모멘텀을 유지하기 위해 애쓰는 마당에 도움을 주지는 못할망정 찬물을 끼얹는 돌출행동은 자제돼야 마땅하다. 북한동포직접돕기운동 등 일부 탈북자 단체들이 지난 5일 대북전단 130만장을 날려 보낸 것은 시기적으로 적절하지 않을 뿐더러 국민적 공감을 얻기도 어렵다. 민감한 시기를 이용해 주목을 끌려는 소영웅적 치기 그 이상 이하도 아니다. 북한이 지난해 대북전단 살포를 빌미로 성사 직전까지 갔던 고위급 접촉마저 무산시킨 악몽이 되풀이돼선 절대 안 된다. 수많은 이산가족들이 북한의 대답을 초조하게 기다리고 있다. 이들의 한을 달래기 위해서라도 이번 기회를 꼭 살려야 한다.
[사설] 남북관계 개선이 대북전단 살포보다 중요하다
입력 2015-01-07 0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