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이천에 이어 용인 양돈농가에도 구제역 의심 신고가 접수돼 경기도에도 구제역이 본격 상륙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특히 해당 농장은 지난달 중순 사육 중인 돼지 전체를 대상으로 예방백신까지 접종한 것으로 밝혀져 방역 방식을 둘러싼 논란도 예상된다.
용인시는 5일 9시30분쯤 처인구 원삼면의 한 돼지농장에서 사육 중인 돼지 3마리에서 수포 등 구제역 의심증상이 발견됐다는 신고가 접수됐다고 밝혔다. 지난달 29일 이천 축산농가에서 구제역 의심 신고가 접수된지 일주일 만에 또 다시 경기도에서 발생한 것이다.
이 농장은 대형 돈사 4곳에서 돼지 1800여 마리를 사육 중이다. 특히 이 농장은 지난달 충북 진천에서 구제역 양성판정이 나온 이후 모든 돼지에 구제역 예방백신을 접종했음에도 발병을 막지 못했다. 방역당국은 이날 오전 구제역 의심증세를 보인 돼지의 혈액 등을 채취해 국립수의과학검역원과 도축산위생연구소에 정밀 분석을 의뢰했다.
근처에는 대단위 돼지사육농장이 밀집해 있어 전염 우려도 제기된다. 이 농가에서 반경 3㎞ 이내 농장에서는 돼지 1만5800여 마리와 소 1640 마리가 사육 중이고 특히 인접한 백암면에는 80여 농가에서 돼지 14만여 마리를 기르고 있다.
인접 지역인 충북 진천·음성, 충남 천안에 이어 용인에서도 구제역 의심신고가 접수되면서 대표적인 축산도시 안성은 비상이 걸렸다.
안성시는 150여 농가에서 돼지 29만여 마리, 1900여 농가에서 소 10만여 마리를 사육하고 있다. 2010년 구제역 파동 당시에는 돼지 20만6000 마리와 소 1600 마리를 살처분해 400억원이 넘는 피해를 입었다.
안성시는 지난달 15일과 31일부터 충북 진천 경계인 죽산면 두교리와 이천 장호원 경계지역인 38번 국도에 거점소독초소를 설치해 방역을 하고 있다.
한편 제주도는 7일 0시를 기해 구제역이 발생한 경기·충남·충북·경북 지역에서 생산된 쇠고기와 부산물, 우분·돈분 비료, 볏짚사료를 반입금지한다고 5일 밝혔다. 서울·인천·대전·세종시·대구시·울산시 등 광역시도 반입금지 지역에 포함했다.
용인=강희청 기자
용인서도 구제역 의심 신고… 경기도 본격 확산?
입력 2015-01-06 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