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5일 검찰의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 사건 중간수사 발표를 놓고 전혀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새누리당은 실체 없는 의혹이었음을 명백히 밝혀줬다는 입장인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청와대 유출 문건=찌라시’라는 박근혜 대통령의 ‘수사 가이드라인’ 등식에 끼워 맞춰진 수사라고 검찰을 맹비난했다.
새누리당 박대출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을 통해 “정국을 온통 흔들었던 청와대 문건 유출 사건은 ‘조응천 주연, 박관천 조연’의 허위 자작극으로 드러났다”면서 “실체 없는 유령에 휘둘려 국정 혼란이 야기된 데 대해 분노를 넘어 허탈감마저 지울 수가 없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야당이 또다시 특검 주장을 하는 것은 실체 없는 의혹 만들기를 포기하지 않겠다는 습관성 구태공세”라고도 했다.
윤영석 원내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에서 “검찰의 수사결과 결론이 난 사안에 대해 더 이상의 정치공세를 멈추고 국회 본연의 역할에 충실해줄 것을 야당에 요청드린다”고 당부했다.
새정치연합 유기홍 수석대변인은 국회에서 브리핑을 갖고 “검찰은 박 대통령 가이드라인대로 비선실세 국정농단이 없었다고 ‘청와대 맞춤형’ 결론을 내렸다”며 “검찰의 엉뚱한 발표를 규탄하며 특검 도입을 다시 한번 강력 촉구한다”고 말했다. 또 “검찰이 발표한 수사 결과는 특검에서 전부 뒤집힐 것”이라고도 했다.
그는 이어 “사건의 핵심은 정윤회씨가 문고리(권력) 3인방과 공모해서 불법부당하게 국정에 개입했는지 여부”라며 “그런데 검찰은 비선실세 국정개입에 관해서는 어떤 것도 밝히지 못했다. 아니 밝히지 않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조응천 박관천씨가 자신들의 입지를 강화할 의도로 모든 사건을 조작했다는 억측을 결론으로 만들어 버렸다”고 지적했다. 유 대변인은 또 “문건 내용 중 정윤회씨의 언동으로 언급된 (문건) 부분에 대해 최초 진술자조차 밝혀내지 못했다”면서 검찰 수사 결과를 비판했다.
박지원 의원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검찰 수사 개시 때 저는 ‘양천(조응천·박관천)은 구속, 회문(정윤회·문고리 3인방)은 면죄부’라 했다”면서 예측된 부실 수사였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靑문건 유출 수사] 與 “의혹실체 없다는 것 명백히 밝혀져” 野 “朴 대통령 가이드라인에 맞춘 수사”
입력 2015-01-06 0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