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최근 잦은 사고로 시민의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는 제2롯데월드 측에 ‘안전사고 재발시 강력 제재’라는 최후 통첩을 보냈다.
서울시는 5일 제2롯데월드 초고층 타워동 공사가 준공될 때까지 그룹 차원의 강력한 안전관리·대응시스템 구축을 롯데측에 공식 요구했다. 롯데측이 이를 이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안전사고 재발시 전체 건물에 대한 사용제한·금지, 임시사용 승인 취소 등 더욱 강력한 제재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런 요구는 제2롯데월드가 지난해 10월 14일 개장 이후 안전사고가 잇따르고 시민 불안감이 확산된 원인이 롯데측의 안전에 대한 사전관리 미흡, 사고 발생후 대응 시스템 미비에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하지만 서울시가 임시 사용 승인을 하기 전에 롯데측에 이러한 안전관리·대응시스템 구축을 요구하고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미리 점검했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민간 건물이어서 건축주가 1차적인 책임이 있지만 감독 기관인 서울시도 안전사고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이다.
현재 롯데가 대폭 강화해야 할 안전관리·대응시스템의 핵심은 신속성, 투명성, 전문성 확보라고 서울시는 밝혔다. 상시적으로 안전 관련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사고 발생시 즉각적인 보고체계를 운영해 전문가 점검과 안전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점검 결과를 공개적이고 투명하게 시민 눈높이에 맞춰 언론에 공개해야 한다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특히 자체 인력 중심의 안전관리를 넘어 외부의 구조·안전 인력 및 장비 확충이나 외부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안전관리 모니터링을 실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시사용 승인 이후 제2롯데월드에서는 수족관 누수, 영화관 진동, 공연장 공사현장 인부 추락사고, 캐주얼동 출입문 탈락사고, 지하주차장 바닥균열 등 크고 작은 안전사고와 사건들이 발생했다. 하지만 롯데측의 대응 미흡으로 언론의 비판과 불신, 시민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다고 서울시는 주장했다. 진희선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임시 사용 승인을 내주면서 안전관리·대응시스템 구축을 요청했고 롯데측도 그렇게 하겠다고 했다”며 “하지만 시스템 구축이 미흡했고 대응도 각 회사별로 하다보니 체계적인 대응이 이뤄지지 않아 시민 불안이 확산됐다”고 말했다.
롯데는 이날 제2롯데월드 안전관리를 위해 그룹 직속의 제2롯데월드 안전관리본부를 출범시키고 8일부터 본격 가동키로 했다고 밝혔다. 안전관리본부는 시설물 운영 및 안전 시공, 위기 발생 시 대응 시스템 등 안전관련 사항 전반을 관할하게 된다. 아울러 현재 진행중인 안전 재점검을 위해 각 분야에서 최고의 신뢰성을 인정받는 전문가들로 점검단을 구성할 방침이다. 안전 재점검 결과는 이달말쯤 나올 예정이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서울시 “제2롯데월드 사고 재발 땐 승인 취소”
입력 2015-01-06 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