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10명중 7명 “사회적 책임 다하는 기업 제품 비싸도 구입”

입력 2015-01-06 02:56
대학생 10명 중 7명이 사회적책임을 다하는 기업의 제품은 조금 비싸도 사겠다고 답했다. 최근 대한항공 회항 사건으로 기업의 사회적책임이 강조되는 가운데 대학생들도 이에 상당한 공감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지속가능연구소가 전국 130여개 대학 재학생(휴학생·복학생 포함) 2361명을 상대로 설문조사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친환경제품이나 사회적책임을 다하는 기업 제품이라면 더 비싸도 살 용의가 있다’고 답한 비율이 72.9%(1721명)에 달했다. 이계안 지속가능연구소 이사장은 “유럽이나 북미 등에서는 여성과 노인을 중심으로 사회적책임을 다하는 기업 제품에 대한 소비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면서 “이번 조사를 통해 기업의 사회적책임에 대한 한국 대학생들의 공감대가 예상 외로 넓다는 점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응답자의 78.7%(1858명)는 ‘소득분배는 개인적 성과에 따라 차등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경제활동의 가장 기본적 가치인 공정한 소득분배의 기준과 관련한 요즘 대학생의 인식이 반영된 결과다.

그러나 대학생들은 사회 전반에 시장기능과 경쟁원리가 관철되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견해가 더 많았다. ‘사회 전반에 걸쳐 모든 부문을 최대한 시장기능에 맡겨야 한다’는 설문 항목에 아니라고 답한 비율은 45.8%로, 그렇다고 답한 비율(26.1%)보다 월등히 높았다.

또 ‘모든 분야에 최대한 경쟁원리를 도입해 국가발전을 이끌어야 한다’는 항목에 대해서도 아니라는 응답이 47.0%로 집계됐다. 특히 ‘모든 부문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는 항목에 대해서는 아니라는 응답률이 54.4%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들이 극단적인 시장만능주의와 정부개입을 모두 경계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보편적 복지는 실현되어야 한다’(63.2%), ‘경제성장·환경보호·양극화해소를 위해 정부재정을 늘려야 한다면 세금을 더 낼 용의가 있다’(47.2%) 등 보편적 복지와 조세부담에 대해서는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한승주 기자 sj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