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국내 제약업 생태계 조성 키워드는 ‘환자’

입력 2015-01-05 00:11
다른 산업이 기본적으로 수요자와 공급자 중심으로 생태계가 구성되는 것과 달리 제약산업은 제약사와 병의원, 의사, 환자,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얽혀있는 복잡한 구조이다.

‘누구’를 중심으로 생태계를 만드느냐에 따라 결과도 각기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 중 제약산업은 ‘환자’를 중심으로 구성돼야 한다는 것에 공감하는 사람이 많다. 최종 수요자가 환자이며, 환자의 생명 및 삶과 연결된 산업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국내에서 신약 가치가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거나 보험급여가 빨리 이뤄지지 않아 암이나 희귀난치질환 치료제 등의 국내 공급이 늦어지거나 원활하지 않으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환자들이 받게 된다. 피해는 비단 치료시기를 놓쳐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것만이 아니라 삶의 질이 매우 떨어지게 되고 생명을 잃기도 한다. 이는 다시 환자 가족들과 지역사회, 나아가 우리 사회 전체에도 비용부담이 되고 더 나아가 사회안전망을 위협하는 불안요소가 되는 등 악순환을 만든다.

박근혜 정부는 4대 중증질환 보장성 강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환자와 환자가족들이 정책의 효과를 체감하기에는 여전히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환자들의 치료와 가장 밀접한 신약에 대한 치료접근권이 충분히 보장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많은 전문가들은 환자들도 행복할 권리가 있으며 이를 위해 최선의 치료를 받을 권리가 있지만, 신약의 가치를 ‘비용’ 중심으로 판단하는 현행 제도와 이에 따른 약값을 둘러싼 이해관계자들의 줄다리기로 우리나라 환자들의 신약접근권이 침해를 당하고 있다고 토로한다.

신현민 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회장은 “직접적인 치료약 외에도 병의 악화를 억제하고 증상을 호전시키는 신약과 허가범위가 아닐지라도 치료에 도움 되는 의약품 등의 사용이 보장되는 환경이 된다면 환자와 환자 가족들의 삶은 크게 개선될 수 있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이런 치료제에 대한 가치를 정부가 충분히 인정하지 않아 안타깝다”며 “환자들이 보장성 강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정부는 치료제에 대한 접근권 보장 등을 위한 실질적인 제도를 마련해 주길 바란다”고 호소했다.

이영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