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대북 금융제재] 대남·해외 공작 총괄… 천안함 폭침 배후

입력 2015-01-05 00:57 수정 2015-01-05 10:19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시간) ‘소니 해킹’ 배후로 지목하며 제재 대상으로 지정한 북한의 정찰총국, 조선광업개발무역회사, 조선단군무역회사 등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정찰총국은 북한의 국방부라 할 수 있는 인민무력부 산하의 첩보·정보기관이다. 2009년 기존 대남공작 기구였던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정찰국, 조선노동당 작전부, 조선노동당 대외정보조사부(35호실) 등이 통합돼 정찰총국으로 확대 개편됐다.

북한이 우리 정부와 해외를 겨냥해 펼치는 공작활동을 총괄하며 공작원의 양성, 침투, 정보수집, 파괴공작, 요인암살, 납치, 테러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킹, 디도스(DDoS) 공격과 같은 사이버 테러 임무도 담당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오바마 대통령은 2010년 “북한의 2차 핵실험과 한국군 천안함에 대한 기습공격을 고려했다”며 정찰총국과 김영철 정찰총국장을 제재 대상으로 처음 지정했다. 김 국장은 이번에 미국이 지목한 제재 대상 개인 10명 명단에도 들어 있다. 그의 계급은 인민군 대장으로 지난해 10월 남북 군사당국자 접촉 때 북한 대표로 참석했다.

정찰총국은 천안함뿐만 아니라 연평도 포격 도발, 황장엽 암살 기도, 농협 해킹 등의 배후로도 의심받고 있다.

미국은 정찰총국 소속 121국에 주목하고 있다. 정찰총국은 중국의 베이징, 선양, 다롄 등에 사이버전 수행 거점을 설치하고 121국, 110호 연구소 인력을 파견·운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21국이 소니 픽처스 등 해외 컴퓨터망에 침입해 비밀자료를 해킹하고 바이러스를 유포하는 전담부대라고 의심받고 있다.

조선단군무역회사와 조선광업개발무역회사 역시 미국으로부터 북한의 2차 핵실험과 관련된 조직으로 지목받은 단체다. 2곳 모두 2009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와 미국으로부터 대북제재 대상으로 지정됐다. 조선단군무역회사는 방위산업 물자와 기술을 조달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광업개발무역회사는 북한의 주요 무기 거래 조직으로 의심되며 이란, 리비아 등의 미국의 적성국가에 탄도미사일과 재래식 무기를 판매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4일 “겉으로는 무역회사의 외관을 갖추고 있지만 실제로는 노동당에 속한 정부기관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

▶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