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야권연대 내부 비판을 낡은 정치와의 결별 계기로

입력 2015-01-05 00:59
새정치민주연합의 싱크탱크인 민주정책연구원이 선거 때마다 반복돼온 시민 단체 및 노동자 단체와의 연대가 야당의 자생력을 약화시켰다고 지적했다. 민주정책연구원은 내부 보고서를 통해 광장 정치와 촛불 집회 등 시민 사회와의 연대는 선거 전 몸집 불리기에만 한정됐고, 그들의 에너지를 담아내지 못한 채 끌려다니거나 과도하게 의존함으로써 정당의 독립성마저 위축됐다고 분석했다. 옳은 비판이고, 뼈아픈 지적이다.

선거 때마다 야권 연대의 부당성이나 명분 없는 정략적 선택이라고 비판해온 쪽은 주로 보수 진영이었다. 그런데 이번에는 전당대회를 앞두고 새정치연합의 공식 기구에서 이를 비판하는 보고서가 나왔다. 그만큼 야당 내부에서도 문제의식에 대한 공감대가 상당히 넓게 퍼져 있다는 뜻이다. 전당대회에 나선 유력 주자들도 과거 야권 연대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었던 사람들이다.

정당은 궁극적으로 정치권력 획득을 목표로 한다. 그러므로 선거에서 승리를 위해 외연 확대를 추진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 문제는 대의명분과 국민적 공감대다. 유감스럽게도 새정치연합이 추진한 옛 통진당 등과의 연대는 그렇지 못했다. 가장 큰 이유는 386 등 운동권 출신 중심의 과거 반독재 민주화 투쟁의 문화, 원탁회의 같은 이른바 야권 원로들의 수렴청정 등이었다. 야당 자체가 중심을 잡지 못하니 외부 세력 개입의 빌미를 준 것이다. 야권 연대가 선거에서 일부 이익을 냈다고 볼 수는 있었겠다. 하지만 숫자로만 읽히는 정치공학일 뿐이다. 오히려 유권자들과 이견의 폭만 넓혔다. 그런 차원에서 전당대회를 통해 내부 성찰과 반성이 있어야 한다.

최근 선거는 과거처럼 유권자들이 뚜렷한 보수·진보로 갈리지 않는다. 이념적 성향 분석이 큰 의미가 없다. 대신 정책별, 사안별로 찬반이 갈린다. 선거를 치르는 입장에선 더 복잡하겠지만 정답은 역시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추는 일이다. 낡은 이념이나 생각, 눈앞의 정치적 이익에 기초한 연대는 국민 눈높이에 한참 뒤떨어진다.

새정치연합은 낡은 진보의 전투적 운동주의, 패권주의, 진영 이기주의에서 벗어나야 한다. 그래야 낡은 보수의 부패와 강고한 지역주의를 비판할 수 있고, 집권당의 견제 세력으로 나아가 수권 세력으로 살아남을 수 있다. 그렇지 않고서는 패배주의에서 헤어나지 못한 채 오로지 반대하며 또 다른 기득권만 누리는 현재의 ‘웰빙 야당’ 신세를 면치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