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앗이로 육아문제를 해결해 가는 마을 엄마의 모임, 뜻 맞는 주민들이 모여 만든 마을 합창단, 주민들의 소통공간인 작은 카페를 만들고 골목축제도 여는 마을 청년들….
마을 일을 주민들이 스스로 결정하고 추진해 가는 주민자치 공동체를 ‘마을공동체’라고 한다. 마을공동체사업은 2011년 10월 보궐선거로 취임한 박원순 서울시장의 주요 공약이었다. 도시의 양적 성장 이후 나타난 다양한 문제를 사람 간 관계와 소통, 공동체의 회복으로 해결해 보자는 취지였다.
서울시는 지난 3년간 마을공동체사업을 통해 2700여개의 주민 모임이 형성됐다고 4일 밝혔다.
이 사업은 2012년 6월 문을 연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가 구심점 역할을 해 왔다. 센터는 창의적인 마을 활동가 양성, 청년 및 여성 활동과 역량 활용, 공동체문화 조성, 이웃 돌봄 활성화, 마을 경제 활성화 등 분야별 주요 전략을 통해 다양한 마을공동체 설립과 운영을 지원해 왔다.
센터는 오는 9일 오전 11시부터 은평구 녹번동 청년일자리허브에서 마을공동체사업 3년의 성과를 분석하고 향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종합보고회를 연다. ‘마을, 3년의 변화 그리고’란 주제를 내건 보고회에는 마을 활동가·주민·연구자 등 100여명이 참석해 3부에 걸쳐 센터의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정책 지원 개선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유창복 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장은 “마을 안에서 시도되는 새로운 실험과 관계들이 지속돼 마을공동체 활성화로 이어지도록 지원 정책을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주민 모임 2700개… 골목의 부활
입력 2015-01-05 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