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남북 고위급 접촉이 성사되면 이 자리에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신년사에 언급된 남북 정상회담 문제를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을 정한 것으로 2일 확인됐다. 또 양측 간 신뢰 구축을 전제로 공개회담 외에 ‘형식에 구애받지 않는’ 막후 접촉도 배제하지 않는다는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기조는 “(남북대화의 내용만큼) 형식도 중요하다”고 한 박근혜 대통령의 지난해 발언이나 “비공식 창구를 통한 물밑 접촉은 하지 않겠다”는 박근혜정부의 기존 스탠스에서 크게 변화한 것으로, 향후 양측 간 전향적인 대화 채널이 열릴지 주목된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우리가 제안한 고위급 회담을 받아들여 성사될 경우 의제는) 상호 관심사가 있을 수 있고 지난번 통일준비위원회에서 했던 이야기도 포함된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이어 “북한이 정상회담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최고위급 대화까지 이야기했으니 다 얘기해보자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고위급 회담에서 정치·군사 문제도 논의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논의 못할 이유가 없다”고 답하기도 했다.
그는 또 “고위급 접촉은 물론 장관급 회담을 의미하는 고위 당국자회담, 통일준비위와 북한 통일전선부 간 회담 등 대화의 형식을 가리지 않겠다”며 “중요한 것은 형식이 아니라 이야기를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류길재 통일부 장관도 전날 브리핑을 통해 “정부는 분단 70년의 최대 비극인 이산가족 문제 해결과 북한이 제기한 최고위급 회담 등 남북 간 모든 관심 사항에 대해 실질적이고 허심탄회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고 밝힌 바 있다.
이 당국자는 김 제1비서의 신년사를 정부가 긍정 평가한 이유에 대해서는 “기본 논리나 구성은 작년과 크게 다를 바 없다”면서도 “최고위급 대화 등 과거 보기 어려운 표현들이 들어 있고 이를 북한의 변화를 보여주는 징후로 판단해 남북관계 개선 쪽으로 끌고 갈 필요가 있겠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또 2∼3년 내 이산가족 전면 생사 확인과 서신 왕래를 적극 추진키로 했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
정부 “남북 정상회담 논의 가능”
입력 2015-01-03 00:46 수정 2015-01-03 14:58